변화하는 자동차 시장
SUV 판매량 60% 임박
세단 장점까지 모두 흡수해

올해도 국내 자동차 시장은 스포츠유틸리티차(SUV)의 돌풍이 거센 것으로 나타났다. SUV의 올해 국내 판매 비중60%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이러한 이유는 수익성을 노린 제조업체와 코로나 사태로 변화한 소비자 심리가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 16일,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올해 1~3분기 국내에서 팔린 SUV 대수는 총 61만 8,384대로 집계됐다. 전체 판매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8%로 세단(34%)등 다른 차종에 비해 크게 앞선 것으로 알려졌다.

매년 증가하는 SUV 판매량
세단과는 대조적인 행보

2017년만 해도 40%였던 SUV 판매 비중은 2018년 43%, 2019년 46%, 2020년 49%, 2021년 54%까지 꾸준히 늘고 있다. 올해는 4분기까지 추세가 이어질 때 60%를 넘어설 것으로 보여 매년 비중이 감소하는 세단과는 대조적인 행보다.
과거 세단이 지배하던 자동차 시장은 이미 SUV 천하로 바뀌고 있다. 같은 기간 판매 TOP 20 모델도 SUV가 세단보다 많았다. 비록 1위는 현대차 세단 그랜저가 차지했지만 20위 가운데 SUV 모델은 무려 13개에 달했다. 쏘렌토, 카니발, 스포티지가 2, 3, 5위를 차지했고 팰리세이드, 캐스퍼, 아이오닉5도 이름을 올렸다.

특히 쏘렌토는 1위 그랜저를 21대 차이로 근소하게 뒤따랐다. SUV 판매 비중이 높아지면서 자연스럽게 패밀리카로 꼽히는 중형 SUV 판매도 30%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7.7% 증가한 수치다. 자동차 업계는 중형 SUV의 성장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단점 보완한 SUV
차박 족 증가도 한 몫

전통적으로 세단이 선호되던 한국은 무게 중심이 확실히 SUV로 쏠리고 있다. 지난달 기준 국내 총등록 된 승용차 중 세단 비중은 66%다. 국내 제조사와 수입차 판매사들은 최근 ‘믹스’개선을 목적으로 수익성이 높은 SUV 신차를 집중적으로 출시하고 있다.

단점으로 지적되던 승차감도 기술 발달로 인해 크게 개선됐고 코로나 사태로 차박(차에서 숙박)을 하는 소비자들이 많아져 SUV에 관한 관심이 높아진 것도 SUV 판매량을 끌어올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SUV가 세단의 장점을 대거 흡수해 다양성 측면에서 더욱 우월해졌고 비중은 더욱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