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에 출시되었던 차량이 굉장히 여러 가지가 있었죠. 저는 그중 가장 인상 깊은 차량이 바로 제네시스 신형 G90입니다. 사실 다양한 차들이 출시되지만 이 G90 같은 경우에는 어떻게 보면 정말 제네시스의 끝판왕입니다. 모든 기술력이 들어가 있고, 제네시스에서는 이 G90을 기점으로 전환점이 된다고 보면 되거든요. 이 G90을 보면, 모든 기술력이 다 들어가 있다고 해도 틀린 말은 아니거든요.

MLA 헤드램프, 그리고 클램셸 후드, 버추얼 베뉴 오디오 시스템 그다음에 자동문, 그다음에 에어서스, 후륜조항 등 제네시스에서 가지고 있었던 모든 기술력이 들어간 차가 바로 G90입니다. 다음에 출시하는 모델들에게 조금씩 나눠줄 거예요. 보통 플래그십 세단들이 출시되면, 그 브랜드의 기술력이 전부 들어가거든요. “우린 이런 기술들도 있어”라는 것을 보여주고, 나머지 기술도 하나씩 하단 모델에 적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G90을 보면 다음에 출시하는 새로운 제네시스 모델들을 볼 수가 있죠.

 

G90의 인기가
어마어마하게 높은 이유?

그렇다면 도대체 왜 G90을 추천하는 것일까요? 이유는 굉장히 간단합니다. 가성비 이런 것을 다 떠나서, G90을 추천하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감가입니다. 이 G90도 원래 감가가 엄청난 차 중 하나인데요. 왜 제가 추천해줬냐면, 사전계약률이 엄청납니다.

당장 계약을 해도 올해 안에 받을 수 있을까, 없을까 모를 정도로 엄청난 계약들이 들어가 있습니다. 그리고 수요가 정말 많죠. 그래서 풀옵션 기준 가격이 1억 3천만 원 정도 합니다. 어쨌든 이 G90을 왜 사야 하는지 G90의 매력이 무엇인지 여러분께 오늘 한번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제네시스 G90의
명품 외관 디자인

먼저 외관 디자인을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크러스트 그릴과 두 줄 헤드램프가 쭉 이어진 모습을 보면 제네시스 로고와 굉장히 비슷한데요. 엠블럼은 기요세 패턴이라고 하여, 명품 시계에 들어가는 무늬 패턴이 이 안쪽에 들어가 있습니다.

또 한 가지, 제네시스 하면 또 무언가가 아이덴티티죠? 바로 두 줄 라인입니다. 이번에도 두 줄 라인이 들어가죠. 특히 저는 눈여겨봐야 할 부분이 MLA 헤드램프라고 생각하는데요. 굉장히 얇지 않나요? 보통 헤드램프라고 하면, 커다란 헤드램프가 들어가는데요. G90의 경우, 얇은 선 안에 아주 얇은 헤드램프가 들어가 있습니다. 주행 등, 상향등, 방향지시등 다 이 안쪽에 들어가 있는 거죠.

그리고 요즘에 들어가 있는 것이 바로 웰컴 라이트인데요. 그냥 문을 이렇게 닫고 열면 라이트가 들어오잖아요. 여기 웰컴 라이트도 G90의 매력 포인트 중 하나입니다. 그런데 보통 웰컴 라이트라고 하면 1가지 버전으로만 딱 나오잖아요.

하지만 G90 같은 경우에는 총 3가지 웰컴 라이트 모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노멀, 다이내믹, 내추럴 이렇게 3가지로 모드를 바꿀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전면부를 보면, 웅장함이 느껴지는데요. 저는 운전석에 앉아서 운전하다 보면, 굉장히 빵빵한 좌우 휀다가 운전자에게 주는 웅장함이 느껴집니다.

그리고 한 가지 눈여겨볼 게, 보통 본넷과 휀다가 나눠져 있잖아요. 신형 G90 같은 경우에는 클램셸 후드로, 하나의 패널로 쭉 커다랗게 이어서 통일감을 주었습니다. 보닛을 제가 한 번 열어볼게요. 클램셸 후드가 이게 사실 굉장히 어렵거든요. 일단은 알루미늄이에요. 소재가 알루미늄으로 되어 있는데, 거의 2m가 넘어가잖아요? 이렇게 커다란 알루미늄판을 하나의 패널로 찍어서 완성한다는 것 자체가 엄청난 기술력이 동원된다는 겁니다.

롤스로이스와
비슷한 보닛

일단 알루미늄 성질이 뜨겁다가 식을 때, 이게 변형이 사실 조금씩 있거든요. 그런데 그런 부분도 오차 범위 없이 완성도 있게 만들려면, 생각보다 높은 기술력이 필요합니다. 두께도 얇아지고, 무게도 가벼워지는 건데요. 파팅 라인이 없어지면서 깔끔한 느낌도 들고, 앞에서 이 G90을 바라보면 웅장한 느낌이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더해주는 클램셸 후드가 두드러집니다.

그리고 저는 보닛을 열었을 때, 가장 놀라웠던 부분이 고무 몰딩 패킹입니다. 지금 S클래스와 우리가 이전에 비교했을 때도, 이 고무 몰딩 같은 부분이 S클래스보다 G90이 훨씬 더 고급스럽게 많이 들어가 있고요. 대부분 이렇게 다 커버로 가려져 있어서, 엔진 소음이라든지 이런 소음 부분에서 조금 더 조용한 느낌을 받을 수 있죠.

우리가 이 보닛을 열었을 때, G90과 비슷한 차가 있습니다. 바로 롤스로이스입니다. 이 고무 몰딩이 되게 두툼했어요. 신형 G90에는 이 앞쪽에도 있고, 헤드램프 위쪽에도 있고, 이 안쪽에도 있습니다. 헤드램프 위에는 왜 있나 싶었더니만, 여기가 딱 걸리잖아요. 안쪽이. 그러므로 소음이나 공기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서입니다. 이 안쪽에도 고무 몰딩이 들어가 있다고 보시면 될 것 같고요.

원격 시동 기능
탑재

차 키를 보면 시동 거는 버튼이 원격입니다. 이게 생각보다 굉장히 편해요. 예를 들어 주차선이 폭이 좁은 주차장에서 타고 내릴 때, G90 같은 경우에는 문이 굉장히 길단 말이에요. 그래서 이거 좁아서 못 타는 경우가 분명히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시동을 걸어놓고 차를 앞으로 빼면 되죠. 좁은 주차장에서 너무나도 편리한 기능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이 클램셸 후드가 들어가서, 측면의 방향 지시등, 그러니까 두 줄 라인의 방향 지시등까지도 굉장히 잘 어울린다는 느낌이 납니다. 손잡이는 팝업식으로 되어 있고요. 롤스로이스처럼 문을 닫는 것도 자동으로 닫을 수 있는데요. 이게 무조건 좋은 건 사실 아닙니다. 이지 클로즈라고 하는데요. 문을 열 때 바로 열리는 것이 아니라 안쪽에 모터가 있어서 제가 손잡이를 잡고 당기면 0.1초 뒤에 문이 살짝 열리거든요.

그런데 문을 여는 것도 그렇고 닫을 때도 그렇고 안쪽에 모터가 있어서 살짝 뻑뻑한 느낌이 듭니다. 이때 궁금한 점이 하나 생기는데요. 자동인데 방전이 되면 문을 어떻게 열까요? 바로 레버를 당기면, 수동으로 문 열기가 가능합니다.

 

측면부의
우아한 느낌

신형 G90의 옆에 라인을 보면, 앞은 웅장하고 측면 라인은 우아하다는 느낌이 드는데요. 파라볼릭 라인으로 디자인이 되었습니다. 앞의 선과 뒤의 선이 쭉 이어진 듯한 이미지이죠. 앞에는 유선형의 미를 살짝 강조했다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이 라인은 살짝 각이 져 있기 때문에 조금 더 전면부와 다른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앞에 우리가 클램셸 후드가 들어갔던 전면부 쪽 휀다 느낌은 웅장하다고 얘기했잖아요. 하지만 후면부의 뒤쪽 라인은 어떤가요? 파라볼릭 라인으로 좀 더 날렵합니다. 그러므로 전면에서 봤을 때, 측면에서 봤을 때, 그리고 이 대각선에서 봤을 때 이 G90의 느낌이 저는 개인적으로 조금 더 다르다는 느낌이 듭니다.

 

트렁크 공간을
살펴보자

킥 모션이라고 해서 키를 가지고 들어가서, 발로 이렇게 집어넣으면 트렁크가 열리잖아요. 그런데 이 기능이 빠지고, 세팅을 통해서 세팅해놓으면 키를 가지고 그냥 뒤에 가까이 가면 트렁크가 자동으로 열리게 기능이 들어가 있습니다. 그리고 트렁크 기능은 아무래도 골프백이나 짐을 실을 때 필요하잖아요. 트렁크 공간이 독일 3사에 비해서 용량은 크게 차이가 안 나거든요. 하지만 실제 사용했을 때는 의외로 차이가 크게 난다 느끼는 부분이 바로 넓은 G90의 트렁크 입구입니다.

그래서 골프백이라든지, 보스턴백이라든지 이런 지금을 넣을 때 조금 더 활용도가 높습니다. 이 안쪽에는 조그마한 수납공간이 들어가 있고요. 무엇보다 놀라운 점은 이런 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까지도, 안쪽까지 싹 마감을 해 놓은 자체가 굉장히 고급스럽고, 사소한 부분까지도 굉장히 신경을 많이 쓴 듯한 티가 납니다. 플래그십 세단이다 보니까 이런 부분에서 많은 신경을 썼네요.

G90 외관의
총평은?

그리고 웰컴 라이트가 전면부뿐만이 아니라 후면부에도 들어옵니다. 두 줄 라인으로 포인트가 들어가 있는데요. 자세히 보면 이전 G90과 살짝 비슷한 느낌이 들어요. 보통 플래그십 세단들이나 플래그십 모델들 보면, 풀체인지 페이스리프트가 엄청 많이 바뀌지는 않습니다.

전체적인 틀은 가져가고, 디자인과 기능이 추가되죠. G90의 뒤태도 굉장히 화려해지고 젊어졌다고 해도, 이전의 G90의 두 줄 라인은 들어가 있다고 보시면 될 거 같습니다. 실내와 본격적인 주행에 관련된 부분은, 이어지는 편에서 더욱 자세하게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