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 K5 하이브리드
따라올 수 없는 하이브리드만의 매력
중형차 대표 세단 될까?
안녕하세요. 요즘에 연식 변경 차들이 굉장히 많이 나오고 있죠. 오늘은 압도적인 판매량을 보여주고 있는 2023년형 K5를 보여드릴까 합니다.
2023년형의 가장 큰 변화
‘블랙 핏 인테리어’
2023년형 K5 이야기하려면 블랙 핏 인테리어를 빼놓을 수가 없습니다. 이번에 연식 변경이 되면서 블랙 핏 인테리어가 새로 추가됐기 때문이죠. 블랙 핏 인테리어는 시그니처 트림에만 추가되는 옵션으로 18인치 블랙 휠 디자인이 들어가고 스웨이드 재질로 된 블랙 인테리어가 추가됩니다. 뒤에는 블랙 하이그로시로 마감이 된 리어 스포일러도 추가되고, A필러, B필러의 가니쉬도 조금 달라집니다.
신형 K5 2.0 가솔린
달라진 가격 및 옵션 정리
요즘에는 연식이 변경되면서 가격이 인상됩니다. K5도 연식 변경이 되면서 가격들이 조금씩 올라갔는데, 인상 폭이 엄청나게 크지는 않습니다. 먼저 2.0 가솔린 기준으로 말씀드리면, 트렌디가 2,400만 원으로 19만 원 정도 인상됐고, 프레스티지가 20만 원 인상된 2,651만 원, 노블레스가 40만 원 인상된 2,862만 원, 시그니처가 113만 원 인상된 3,205만 원입니다.
트렌디 트림은 사실 크게 바뀌지 않았습니다. 사이드미러의 밑 부분, B필러, C필러 부분이 블랙 하이그로시로 기본 적용되면서 19만 원 올랐고요. 그 위 트림인 프레스티지도 트렌디와 동일한 옵션이 적용됩니다. 노블레스는 뒷좌석 커튼이 추가돼서 가격이 40만 원 올랐고, 시그니처 트림은 10.25인치 내비게이션이 기본으로 적용되면서 113만 원이 올랐습니다.
신형 K5 하이브리드
달라진 가격 및 옵션 정리
오늘 가지고 온 차는 하이브리드인데, 원자재의 가격이 인상되면서 가솔린보다 가격 인상 폭이 조금 더 큽니다. 트렌디가 57만 원 오른 2,963만 원, 프레스티지가 56만 원 오른 3,169만 원, 노블레스가 94만 원 오른 3,405만 원, 시그니처가 167만 원 오른 3,694만 원입니다.
트렌디와 프레스티지는 가솔린 모델과 동일하게 블랙 하이그로시가 추가되었습니다. 노블레스는 전방 충돌 방지 보조나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이 기본 적용되고, 시그니처는 고속도로 주행 보조와 내비게이션 기반의 스마트 컨트롤, 10.25인치 내비게이션이 기본 적용이 됐기 때문에 하이브리드 모델 또한 가격의 인상 폭이 크지 않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요즘에는 연식이 변경되면서 추가 비용을 지불해서 옵션으로 추가해야 하는 것들이 기본으로 적용되고 있습니다. 인상 폭을 조금 최대한 억제하려는 게 보이죠.
옵션들 기본 적용하는 추세
큰 변화보다는 소비자 요구 반영했다
선택 옵션이 변경된 부분들도 있습니다. 노블레스와 시그니처 트림에서 드라이브 와이즈 가격이 75만 원에서 45만 원으로 내려갔는데,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과 전방 충돌 방지 보조가 노블레스부터 기본 적용됐기 때문에 금액이 내려갔고요. 시그니처부터 95만 원짜리 10.25인치 내비게이션이 기본 품목이 되면서 옵션 자체가 사라졌습니다. 트렌디와 프레스티지에서는 스마트 커넥트의 가격이 60만 원에서 45만 원으로 내려갔는데 트렌디부터 무선 충전 시스템이 기본 적용됐기 때문에 가격이 내려갔습니다. 파노라마 선루프 옵션이 원래 120만 원에서 110만 원으로 내려갔고, 하이브리드는 블랙 핏 디자인이 70만 원 옵션, 마찬가지로 시그니처 적용이 됩니다.
사실 크게 달라진 부분은 없습니다. 워낙 인기도 많고 판매가 많이 되는 차다 보니 큰 변화보다는 소비자들이 많이 찾는 10.25인치 내비게이션을 기본으로 넣었고요. 파노라마 썬루프 옵션 가격은 조금 내려가고 블랙 하이그로시가 기본 적용되면서 가격을 조금 올린 정도의 차이라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활용도 낮은 수납공간
젊은 오너 취향 저격하는 레버 디자인
K5는 무선 충전 패드가 뒤쪽에 있습니다. 그래서 앞쪽을 수납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 같았지만, 생각보다 공간이 작습니다. 컵홀더도 폴더식이 아닌 고정으로 되어 있어서 물건을 많이 못 집어넣는 것도 단점입니다. 요즘 워낙 커브드 디스플레이가 많이 있다 보니 15인치라는 큰 디스플레이가 있어도 작아 보이는 단점도 있습니다. 그러나 통풍 시트나 열선 시트 레버같은 경우, 젊은 오너 분들이 좋아할 만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연비 주행 재미 쏠쏠
이질감 있지만 부드러운 주행감
K5는 워낙 디자인도 잘 나왔고, 다른 경쟁 모델들보다 포지션도 타이트하고 운전의 느낌도 스포티하게 세팅되어있습니다. 특히 K5 하이브리드는 연비 주행하는 재미가 쏠쏠한데요. 연비가 훌륭한 이유가 있습니다. 일단 두 가지 구동이 됩니다. 하나는 전기 모터, 하나는 내연기관 엔진이 들어가 있어서 두 가지 방식으로 구동이 되는데, 주행하면 가솔린 엔진 차를 타는 것 같습니다. 악셀에 힘을 주고서 주행하면 일반적인 2.0 가솔린 엔진 느낌이 나다가 악셀을 떼면 전기 모터로 전환되면서 부드러워지고 조용해집니다.
하이브리드를 탈 때 이질감이 아예 없다고 얘기할 수는 없습니다. 특히 그랜저나 K8은 하이브리드의 이질감이 많이 없는데, K5에는 유독 이질감이 있습니다. 주행하다가 갑자기 악셀을 밟았을 때나 브레이크를 팍 밟고 재가속할 때 이질감이 조금 있습니다. 전기 모터로 부드럽게 주행하다가 갑자기 악셀을 밟아서 가솔린 엔진이 개입할 때 살짝 충격이 있고 반응이 굼뜹니다. 그러나 평상시대로 부드럽게 주행한다면 부드럽게 주행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들과 2023년형 K5를 가볍게 살펴봤습니다. 가솔린의 주행 질감이나 만족도도 훌륭하지만 조금 더 비용을 주더라도 하이브리드를 구매하는 게 조금 더 낫지 않나 생각합니다. 조용하면서도 힘이 좋고, 연비도 잘 나와 만족감이 굉장히 높고, 저공해 인증 차이기 때문에 공영 주차장 할인도 됩니다. 하이브리드는 확실히 하이브리드만의 그런 매력을 가지고 있는 차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