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레이,
5년 만의 페이스리프트
다시 ‘1인자’ 되나

안녕하세요. 오늘은 5년 만에 페이스리프트로 돌아온 기아 레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항마 ‘캐스퍼’ 등장에
5년 만에 페이스리프트 진행한 기아

기아 레이는 경차의 확고한 일인자였지만 최근에 현대자동차 캐스퍼가 출시되면서 레이의 입지가 조금씩 약해졌습니다. 사실 레이는 저렴한 금액 때문에 구매하는 색깔 없는 차라는 이미지가 굉장히 강했습니다. 비슷한 색상과 옵션에 개성이 없는 느낌이 굉장히 강했죠. 그에 비해 캐스퍼는 다양한 색상과 다양한 옵션, 스티커와 시그니처 로고 등 차주의 개성을 살려 국내에 단 한 대밖에 없는 차를 만들 수 있었습니다. 소비자들이 레이에서 캐스퍼로 많이 넘어갔기 때문에 기아자동차가 드디어 레이의 페이스리프트를 진행한 것이죠.

레이의 파격적인 이미지 변신
‘타이거 페이스’ 형상화한 전면부

이번 레이는 기아의 디자인 철학인 ‘Opposites United’ 4가지 중 하나인 즐거움에서 영감을 받아 디자인했다고 합니다. 원래 기아 ‘레이’를 떠올리면 아기자기하고 귀여운 이미지가 굉장히 강했는데요. 이번 레이의 전면 디자인은 정통 SUV의 선 굵은 라인들을 강조한 느낌이죠. 작고 아기자기한 이미지에 변화를 주기 위해 파격적인 변신을 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새롭게 바뀐 전면부는 타이거 페이스 느낌이 있습니다. 좌우의 헤드램프는 호랑이의 눈인 것 같고, 라디에이터 그릴 스타맵 시그니처 라이팅은 콧구멍 느낌도 납니다. 헤드램프와 스타맵 시그니처 라이팅 그릴을 둘러싼 블랙 하이그로시 테두리는 호랑이의 줄무늬 띠를 연출한 것 같습니다.

SUV 차량에 탑재된 스키드 플레이트
레이에도 탑재된다

전면부 디자인을 보면 앞 범퍼도 인상적인 부분이 많은데요. 기아에서 출시하고 있는 정통 SUV 쏘렌토나 북미에서 판매하는 텔룰라이드의 하단 범퍼 디자인과 굉장히 비슷한 느낌입니다. 이전 레이와 다른 점을 꼽는다면, 하단에 은색으로 커버처럼 스키드 플레이트가 들어가 있습니다. 스키드 플레이트는 SUV 차량이 오프로드 갈 때 하부를 보호하기 위해서 만들어놓는데, 요즘 SUV를 보면 정통 오프로드 SUV의 느낌만 살리기 위해서 하단 범퍼에 스키드 플레이트 디자인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레이의 페이스 리프트도 그런 느낌을 주기 위해서 하단 범퍼에 스키드 플레이트를 만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옆면 부의 디자인은 크게 바뀐 게 없습니다. C필러 쪽에 글라스나 라인의 디자인이 살짝 바뀌었고, 새롭게 디자인된 15인치 알로이 휠이 들어가 있습니다.

전면부와 통일감 느껴지는 후면부
SUV의 강인한 느낌도 있어

후면부의 디자인은 전면부와 마찬가지로 입체감이 느껴지는 디자인을 많이 집어넣었는데요. 전면부에 스타맵 시그니처 라이팅에 헤드램프와 그릴을 연결하는 듯한 디자인이 들어가 있고, 그 주변에는 블랙 하이그로시로 포인트가 들어가 있는데요. 후면부의 디자인도 비슷합니다. 리어의 후드 부분을 강조하고 좌우 헤드 램프의 라인을 하나로 이어서 후면부 디자인도 전면부 스타맵 시그니처 라이팅과 비슷한 느낌을 주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 정중앙에는 기아의 새로운 로고도 들어가 있어서 생각보다 깔끔하다는 느낌이 듭니다. 테일 램프 디자인도 더 슬림해졌습니다. 이전에는 박스한 느낌의 투박한 라인을 가지고 있었다면, 이번에는 유선형의 부드러운 느낌과 SUV 특유의 강인한 느낌을 들게 하면서도 좌우 헤드램프를 이어주는 부분이 셀토스 페이스리프트를 생각나게 하는 것 같습니다.

풀 폴딩 시트 가능해졌지만
트림별로 옵션 세분화될 가능성 높다

실내 디자인도 바뀐 부분이 있습니다. 새롭게 디자인된 4.2인치 LCD 계기판이 들어가는데, 캐스퍼에 들어갔던 계기판과 동일한 디자인으로 들어갑니다. 그리고 라이트 그레이라고 하는 새로운 인테리어가 추가됐고요. 풀 폴딩 시트가 들어갑니다. 이전에 레이 분들이 가장 불편해하셨던 부분 중 하나가 바로 1열 시트가 폴딩이 안 돼서 공간의 효율성이 없다는 점이었는데요. 캐스퍼가 1열 시트까지 풀딩이 되면서 오너 분들이 굉장히 좋아했었죠. 이번에 레이 페이스리프트도 1열까지 풀 폴딩 시트가 가능합니다.

풀 폴딩 시트까지 된다면 박스카에 슬라이딩 도어, 그리고 넓은 실내 공간의 레이가 활용도 면에서는 캐스퍼보다 더 좋지 않을까 생각이 드는데요. 다만 캐스퍼처럼 트림별로 옵션이 세분화 될 것 같습니다. 캐스퍼 같은 경우 하위 트림에서는 1열 시트가 아예 폴딩이 안 되고요. 중간 트림부터는 추가 옵션을 통해서 1, 2열 시트가 폴딩 됩니다. 가장 상위 트림에 가야지만 1열 시트가 폴딩이 기본으로 적용이 되는 것처럼 레이의 페이스리프트도 옵션을 통해서 나눠질 것으로 생각됩니다. 또 한 가지의 옵션으로는 핸들 조향 보조가 있는데요. 레이에도 드디어 크루즈 컨트롤이 적용됩니다.

이번 페이스리프트를 통해 레이의 디자인이 강인하고 세진 듯한 느낌이 듭니다. 디자인 변화에 오너들이 만족하실지는 모르지만, 판매량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네모난 박스카 형태의 경차와 슬라이딩 도어의 넓은 실내 공간을 충족시켜줄 만한 차가 딱히 없기 때문이죠. 캐스퍼는 오너들의 개성을 살려 타는 차량이라면 레이는 영업용, 화물용으로도 많이 사용하고 넓은 실내 공간 때문에 선호도가 굉장히 높은 차입니다. 특히 많은 분이 원했던 옵션이나 기능들이 추가되면서 상품성이 강화됐기 때문에 캐스퍼와 충분히 경쟁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