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의 첫 PBV 니로 EV 플러스
1세대 디자인을 따른 이유는?
택시용과 일반용의 차이는…

오늘은 기아의 첫 PBV 전기차 니로 EV 플러스를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세대를 말씀드리는 게 아니라 니로 플러스는 1세대에서 조금 디자인이 바뀐 모델로 이번에 나왔습니다. 보통 자동차는 운전자 중심으로 출시가 되는데 니로 플러스는 다릅니다. 바로 PBV로 1세대 니로 EV를 기반으로 한 목적 기반 모빌리티 차량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자동차가 미래로 갈수록 자율 주행이 개발되고, 자동차가 단순히 이동수단을 넘어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장소로 바뀌고 있습니다. 요즘 차박을 많이 하는 것처럼 점점 차 공간 활용성이 높아질 거로 생각합니다.

최초 택시 전용 전기차
출고 가격은?

오늘 보여드릴 니로 플러스는 최초의 택시 전용 전기차입니다. 요즘 전기차 택시가 많아졌는데 유지비나 출고가가 워낙 저렴하긴 합니다. 택시는 전기차 보조금이 조금 더 지원됩니다. 서울 기준으로 한 900만 원 정도인데 나라와 지자체 포함해서 300만 원이 더 나옵니다. 그럼 총 1,200만 원 지원금을 받아서 출고가 가능합니다. 니로 플러스는 라이트 트림이 4,420만 원인 걸 생각하면 3,000만 원 초반에 구입 가능하고, 지역에 따라 2,000만 원 후반까지도 가능하죠.

택시 전용과 일반용의 차이점
트림부터 옵션까지 다르다

니로 플러스는 두 가지 모델로 나옵니다. 하나는 택시 전용이고, 다른 하나는 영업용인데 캠핑용으로도 뽑을 수 있습니다. 택시 전용은 라이트와 에어로 트림이 있고, 일반용은 에어와 어스 트림이 있습니다. 라이트가 가장 저렴한 트림, 에어가 중간, 어스가 가장 최상위 트림입니다.

라이트 트림은 전동 시트나 열선 핸들 등이 빠지지만, 컴포트 옵션이 있어서 전동 시트, 통풍 시트, 열선 핸들 등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최상위 트림인 어스는 전동 시트가 기본으로 들어갑니다. 에어 트림은 택시용, 영업용 4,570만 원으로 가격은 동일한데 택시 전용 모델은 공통으로 들어가는 옵션 가격이 조금 더 쌉니다. 드라이브 와이즈1 옵션은 영업/일반이 70만 원이고, 택시는 66만 원입니다. 드라이브 와이즈2 옵션은 영업/일반이 40만 원, 택시는 38만 원입니다. 2~4만 원 정도 택시용이 더 저렴하지만, 추가할 수 있는 옵션의 차이가 있습니다. 어스 트림에는 캠핑 패키지 옵션이 있어서 러기지 스크린, 등받이 평탄화 등이 들어갑니다. 제일 큰 건 V2L이 들어간다는 점입니다.

전기차 택시가 늘어나는 이유
‘부제’를 피할 수 있다

택시용은 37만 원 옵션을 추가하면 올인원 디스플레이가 들어갑니다. 이건 이제 택시 기사님들이 주로 쓰는 미터기라든지 기능이 다 연동된 디스플레이입니다. 현재 출고한 지 오래되지 않았는데 8,000대 넘게 계약이 됐다고 합니다. 반 정도가 택시용으로 계약이 됐는데 유지비 말고도 전기차 택시의 또 다른 장점이 있습니다. 바로 ‘부제’입니다. ‘부제’란 개인택시의 그룹을 지어 며칠에 한 번씩 해당 그룹의 택시 운행을 쉬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그런데 전기차를 부제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한 마디로 내가 일하고 싶을 때 일하고, 쉬고 싶을 때 쉴 수 있는 거죠.

조금씩 바뀐 외관 디자인
더 쾌적해진 실내

2세대가 출시됐는데 왜 1세대 디자인으로 가져왔는지에 대한 의문도 있을 수 있고, 심지어 가격도 2세대에 비해 150만 원 정도 더 저렴하지만, 큰 차이는 아닙니다. 이건 2세대를 출고한 분들의 의견을 반영해서 이번에 영업용과 택시용으로 따로 뺀 거죠. 그렇지만 1세대 니로와 완전히 똑같진 않습니다. Y자 램프 디자인이라든지 B필러와 후면부 디자인 등이 조금씩 바뀌었습니다. 휠베이스는 동일하지만, 전장을 1cm, 전고를 8cm 정도 늘려서 실내 구성을 최적화했다고 합니다.

주행 가능 거리는?
호불호 갈리는 충전구 위치

주행 가능 거리도 중요하죠. 17인치 휠 기준으로 일반은 392km, 도심은 433km 정도의 주행 가능 거리를 보여준다고 합니다. 충전구가 앞쪽에 있는데 이 위치가 호불호가 갈립니다. 아무래도 1세대 플랫폼으로 만든 모델이기 때문에 충전구의 위치는 바뀌지 않았습니다.

다음 편엔 실내는 어떻게 달라졌는지 보고, 택시용과 일반용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