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의 스팅어 2022년형 아크로 에디션이 출시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이 2022년형으로 바뀌면서 새로워진 부분들이 몇 가지가 있습니다. 스팅어의 많은 단종설 등 수많은 소문이 있었는데요. 이야기가 지금 매우 많다고 합니다. 물론 단종된다는 이야기도 있고요. 단종 안 된다, 기아의 스포츠 세단인데 단종이 되겠냐는 반응도 많습니다. 물론, 이건 좀 더 시간이 지나 봐야 알 수 있을 것 같죠.

한편으로는 이 에디션을 출고하는 것을 보고, 이거 재고떨이 아니야? 라는 걱정도 조금 이야기가 나오긴 하는데요. 저는 개인적으로 이 기아자동차에서 스팅어의 위치가 굉장히 중요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단순히 수익성이 높은 모델만 출시한다면, 기아의 브랜드 이미지가 상승하는 데는 큰 역할을 하지 못할 거라고 생각을 합니다. 모하비라든지, 스팅어라든지. 기아의 기술력과 브랜드 이미지 상승을 도와줄 수 있는 이런 대표적인 차들이 꼭 있어야 한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그럼 지금부터 이 스팅어가 2022년형으로 바뀌면서 달라진 점에 관해 이야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독자적인 스팅어 마크 대신
새로운 기아 마크로

기아의 스팅어가 신형으로 바뀌며 몇 가지가 추가되고 바뀐 부분이 있는데요. 가장 첫 번째, 기아 마크가 이번에 새롭게 바뀌었죠. 원래 스팅어에는 이 스팅어 전용 앰블럼이 장착되어 있었는데요. 이번에 2022년형으로 바뀌면서 이 앰블럼이 사라지고, 신형 기아 마크로 바뀌었죠.

그런데 이게 솔직히 이야기하면, 그 반응이 딱 두 가지라고 합니다. “스팅어 하면 스팅어 앰블럼인데 왜 이게 들어가느냐”는 반응과 반대로 새로 바꾼 기아의 로고가 매우 예쁘다 보니, 나쁘지 않다고 말씀해 주시는 분들이 있어요. 물론 이 부분은 개인의 취향에 따라 갈리는 부분입니다.

기본 옵션들이 강화되고
보완된 부분들이 많아졌다

이번 2022년형, 연식이 바뀌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제가 이야기를 하는데요. 바로 연식이 바뀌면 그 기본 품목들이 추가되고, 기본 옵션들이 조금 더 강화가 되고, 여러 가지로 보완된 부분들이 조금 더 많아집니다. 일단 스팅어의 가장 엔트리 트림이라고 할 수 있는 플래티넘 같은 경우에는 몇 가지 옵션이 기본적으로 추가가 되는데요.

플래티넘 같은 경우에는 고객들의 반응이 가장 좋은 레인 센서와 후드가 시니까 기본으로 적용되었고요. 상위 트림인 마스터스는 7인치 클러스터, 프로젝션 LED 헤드램프 다이내믹 밴딩 라이트를 기본으로 적용했습니다. 이 부분이 기본 2022년형에 적용된 사항이고요. 오늘 여러분께 보여드릴 건 기본 스팅어가 아닙니다. 아크로 에디션인데요.

차 컬러는 그린입니다. 정확한 컬러 이름은 에스코트 그린인데요. 영국에 있는 경마장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었다고 합니다. K9에서도 선보였던 컬러이죠. 이 스팅어를 출고하시는 분들이 가장 많이 하는 고민이 바로 이 컬러입니다.

취득세 포함
6200만 원 정도의 가격

그렇다면 3.3 GT 풀옵션 아크로 에디션 같은 경우에는 가격이 얼마나 될까요? 5,700에 등 취득세까지 전부 다 합하면 6,200 정도입니다. 절대 쉽지 않은 차이죠. 하지만 매력적인 부분들이 몇 가지가 있습니다. 일단 첫 번째, 카본 패키지가 들어갔는데요. 이 카본 패키지 같은 경우에는 2.5는 선택이 불가능합니다. 3.3 GT에만 선택이 가능하고요. 190만 원 카본 패키지가 들어가 바뀐 부분이 몇 가지가 또 있습니다.

일단 라디에이터 그릴 주변에 카본이 들어가는데요. 보닛에 보이는 에어 덕트 쪽 부분도 카본으로 추가가 됩니다. 하지만 아쉽게도 구멍이 뚫려있진 않습니다. 사이드미러 에어인테이크 하단부에도 카본이 추가로 들어갑니다. 이 현대나 기아차에 들어가는 카본 퀄리티가 생각보다 좋습니다. 그리고 190만 원 정도가 들어갔다는 이 금액이, 수입차로 비교하면 정말 저렴한 겁니다. 수입차에서는 보통 300~500만 원 대의 가격은 하기 때문이죠.

기아 현대에서도 카본 패키지를 굉장히 많이 적용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아반떼 N도 어떻게 보면 달리는 스포츠 세단이잖아요. 젊은 오너분들의 개성을 뽐낼 수 있는 매력적인 차에는 카본 패키지와 알칸타라 같은, 독특하고 개성 넘치는 옵션이 많이 추가됩니다. 금액이 그렇게 비싸지 않은 편이기 때문에 구매하고자 하시는 분들은 이 부분을 좀 추가했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2.5와
3.3 GT의 차이점

그뿐만이 아니라 퍼포먼스 패키지가 들어가는데요. 퍼포먼스 패키지를 집어넣으면 전자식 서스펜션이 들어가고요. 그다음에 브렘보 브레이크와 빨간색 캘리퍼가 추가됩니다. 이게 퍼포먼스 패키지 195만 원을 선택해야지만 들어갈 수 있는 옵션인데요. 여기서도 또 한 가지 바뀌는 게 있습니다. 바로 2.5와 3.3 GT의 차이점이죠.

무엇이나 하면, 3.3 GT에는 미쉐린 썸머 타이어가 들어갑니다. 좀 더 좋은 타이어가 들어가는 거죠. 또 80만 원짜리 선루프가 들어갑니다. 옆태를 보시면, 어찌 보면 끝판이라고 할 수 있는 리어 스포일러가 들어갑니다. 스팅어 같은 경우에는 이성적인 사람보다 감성적인 사람들이 많이 사는 차이기에 이 스포일러가 또 매우 큰 역할을 합니다. 매우 예쁘죠. 그런데 이것도 54만 원 금액을 추가해야지만 들어가는 옵션이라고 합니다.

포르쉐와 비슷한
후면 테일램프

후면부를 살펴보겠습니다. 후면 테일램프를 보면 달라진 부분이 있는데요. 원래는 이 좌우 테일램프가 독립적으로 되어 이어져 있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이번에 페이스리프트가 되며, 일자로 쭉 이어지는 모습이 포르쉐 992와 굉장히 비슷합니다. 밤에 보면 거의 똑같습니다.

그리고 고성능의 또 대표적인 포인트 듀얼 머플러도 굉장히 예쁘게 들어가 있습니다. 그리고 기아 액세서리 패키지가 또 있는데요. 68만 원 정도 합니다. 이건 뭐냐고 물으시는 분들이 분명히 계실 텐데요. 생활보호 PPF입니다. 가장 손이 많이 닿는 부분에 PPF가 기본적으로 적용이 되는 건데요. 손잡이 쪽, 휀다 쪽, 좌우 앞 범퍼 쪽 등 돌이 많이 튀거나 접촉이 많은 부분에 시공이 되어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스웨이드 실내와
알칸타라 패키지

이번에는 실내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전에 스팅어를 타셨던 분들은 아시겠지만, 알칸타라 패키지가 있어요. 이건 3.3GT 가장 높은 모델에만 선택이 가능했는데요. 재미있는 게, 일단 아크로 에디션을 선택하면 실내가 스웨이드로 다 덮입니다. 일단 손잡이 도어트림 이 부분, 그리고 시트도 새로운 무늬 패턴의 스웨이드로 바뀝니다. 이 무늬가 굉장히 예쁜데요. 마세라티 느낌도 많이 납니다.

워낙 스팅어의 실내가 예쁜 것으로 유명하기 때문에 이런 스웨이드 시트가 적용된 것만으로도 차의 느낌이 굉장히 많이 바뀝니다. 이 도어 트림, 그리고 시트 무늬 패턴과 스웨이드, 대시보드 쪽, 뒷좌석도 전부 스웨이드와 새로운 패턴이 적용됩니다.

이 아크로 에디션을 선택하면, 알칸타라 패키지가 빠지게 됩니다. 선택이 불가능하다고 하죠. 이건 좀 의아합니다. 물론 스웨이드가 다 적용이 되어 빠지는 건가, 생각해보긴 했는데요. 이 알칸타라 패키지가 이 손잡이 부분과 기어노브 부분, 암레스트 부분에 들어가는 건데 스웨이드와 겹치지는 않습니다. 그런데 이게 빠져요. 반대로 아크로 에디션을 선택하지 않으면 알칸타라 옵션을 넣을 수 있는 거죠.

아크로 에디션은 빨간색이 순정으로 나오는데요. 안전벨트도 빨강, 시트도 빨강입니다. 엔진 시트도 시동 걸면 빨간색으로 들어가고요. 당연하겠지만 가운데 핸들 마크가 새로운 기아 마크로 들어갑니다. 그런데 워낙 기존의 스팅어 앰블럼도 예뻐서 기존 앰블럼 그대로 들어갔어도 좋았을 거 같죠.

단종된다면
아쉬움이 매우 큰 차

오늘 보여드린 기아의 스팅어 아크로 에디션, 정말 예쁜데요. 개인적인 마음으로는 이 스팅어가 단종이 안 되었으면 하는 마음이 매우 큽니다. 정말 괜찮은 차가 많은데 수요가 많이 없다는 이유만으로, 물론 이 기아와 현대가 아무래도 기업이기 때문에 이윤을 창출해야 하는 그런 목적 때문에 손익을 따져야 하는 경우가 있지만 아쉬운 마음이 큰 건 마찬가지입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