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 수습 돕는 과정에서
언제든 사고 가능성 존재해
이때 반드시 알아야 할 이것?

사진 출처 = 유튜브 채널 ‘맨인블박’

가끔 도로 위에서 사고가 발생한 경우, 자신의 차를 정차하고 사고 수습을 도와주는 사람들을 볼 수 있다. 도로 위에 널브러진 짐들을 같이 정리해 주거나, 심지어는 전복된 차에 갇힌 운전자의 의식을 찾게 도와주는, 마치 자기 일인 것처럼 도움을 주는 이들을 보면 아직 인정과 낭만이 살아있음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자칫 잘못된 방식으로 도로에 정차해 둔 차가 또 다른 사고의 원인이 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도로 위에서 누군가를 도와줄 때는 법적으로 정해진 절차를 반드시 해놔야 법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다. 최근 한 사고를 통해, 정차를 따르지 않을 경우 어떤 결과가 발생하는지 알아보고, 그 절차에 대해서도 간단하게 알아보자.

사진 출처 = 유튜브 채널 ‘한문철 TV’
사진 출처 = 유튜브 채널 ‘한문철 TV’

정차된 차와 충돌한 사고
적합한 절차 없었어

해당 사고는 제한 속도인 80km보다 높은 속도로 달리고 있었다. 그런데 어느 순간 전방 멀리서 빛들이 다수 보이기 시작했는데, 알고 보니 사고로 정차 중인 차들과 이들을 돕는 차들이었다. 그런데 이를 인지하지 못한 택시가 그대로 서 있던 차들과 추돌하면서 2차 사고가 발생한 셈이다.

물론 도로도 밝은 상태였고, 택시 역시 과속 상태라는 점은 감안해야 하지만, 무엇보다 사고 차들은 비상등만 켜고 있었다. 다시 말해서 사고가 발생하거나 이를 돕고 있었다면 비상등뿐 아니라 법적으로 정해진 절차에 따라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법적 처벌은 받지 않더라도 보험사의 과실 책정에서 불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진 출처 = ‘맨 인 블랙박스’
사진 출처 = 유튜브 채널 ‘차업자득’

비상등이 능사가 아니야
다만 2차 사고 조심해야

만약 사고가 발생해서 도로 위에 차를 정차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비상등을 켜고 차의 트렁크나 보닛을 열어두어야 한다. 그리고 차 뒤쪽으로 다른 차가 충분히 인지해 차선을 바꾸거나 정차할 수 있도록 안전 삼각대와 불꽃 신호를 설치해야 한다. 여기에 차폭등과 미등을 켜놓아야 하는 주의의무 절차를 따라야 한다.

다만 후방에서 다른 차가 2차 사고를 낼 가능성도 있다. 사고 비율은 낮더라도 2차 사고는 치사율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안전 삼각대를 설치한 후라면, 절대 차 주변에 있지 말고 안전지대나 가드레일 밖으로 대피해야 한다. 만약 주의의무를 따르지 않을 경우, 교통사고가 났다고 해도 가해자에게 책임을 묻지 않는다는 법적 판례가 있는 만큼, 이를 신경 써야 한다.

사진 출처 = 유튜브 채널 ‘경남일보’
사진 출처 = 유튜브 채널 ‘한문철 TV’

돕기 전에 나부터 챙기자
네티즌 ‘마음은 좋은데 조심하자’

사고가 나서 도로 위에 정차하거나, 혹은 남을 돕기 위해 자신의 안전을 담보로 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고 멋진 일이다. 하지만 나의 안전을 신경 쓰지 않는다면, 도움의 손길이 또 다른 사고 피해자가 될지 모르는 일이다. 따라서 사고의 피해자든, 사고 수습을 도와주든, 나의 안전과 의무 절차를 꼭 따르게 하자.

네티즌 역시 이에 대해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한 네티즌은 ‘밤에 운전할 때는 늘 조심하는 게 좋다’라는 댓글을 달기도 했다. 또한 ‘제발 사고가 났으면 다른 차들 사고 안 당하게 잘 볼 수 있게 조치 취해줬으면 좋겠다, 나까지 사고 낼까 봐 무서워’라는 댓글도 찾아볼 수 있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