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회전 감응 신호
오작동 의심 사고
이렇게만 하면 된다고

이 발달하면서, 과거처럼 모든 도로가 천편일률적인 질서로 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통행량이나 현재 이용자 여부에 따라서 유기적으로 신호를 통제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아마 이 대표적인 사례로, 좌회전 차량이 없을 때는 신호를 주지 않았다가, 좌회전 차량이 있을 때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주는 좌회전 감응 신호가 있을 것이다.

그런데 최근에 이 신호의 오작동으로 사고가 났다고 주장하는 피해자가 나오면서 네티즌들의 반응을 끌어냈다. 과연 이 사고는 어떤 사고였을까? 그리고 실제로 이 사고는 감응 신호의 오작동으로 인해 발생한 사고일까? 이에 대해서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신호를 위반하는 좌회전 차량 / 사진 출처 = Youtube ‘블박맛집’
충돌하는 제보자와 좌회전 차량 / 사진 출처 = Youtube ‘블박맛집’

신호 위반으로 보인 사고
가해자는 자기 신호라고

해당 사고는 피해자의 블랙박스를 통해 제보되었다. 해당 영상에서 밤길을 달리던 제보자는 교차로에 접어들기 전, 해당 교차로가 직진 신호임을 확인했음에도 좌회전 통행을 하고 있던 차들을 목격했고, 속도를 줄이지 못해 그대로 좌회전 중이던 코나의 후측방과 충돌하게 된다.

그런데 해당 코나 운전자는 자신은 좌회전 감응 신호에 맞게 이동했을 뿐인데 일방적으로 제보자가 박았다고 주장했다. 알고 보니 해당 신호가 바뀌지 않자, 일방적으로 좌회전을 감행한 반대 차선 차들 때문에 제보자가 사고를 당한 것이었다고 한다.

감응신호 표지판 / 사진 출처 = ‘보배드림’
신호 구간 안에 들어가도 바뀌지 않았다는 제보 / 사진 출처 = ‘FM코리아’

더 빠른 통행 목적
잘 안 맞을 때도 있어

감응 신호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굳이 좌회전 차가 없음에도 좌회전 신호를 기다리면서 정체와 비효율적인 시간 소모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도입된 기능이다. 차선에 그려진 파란색 공간에 차를 배치하면 일정 시간 후에 좌회전 신호를 주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효율적인 주행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번 사건에서도 그렇고, 생각보다 많은 운전자가 감응 신호가 차량을 인식하지 못하면서 오히려 장시간 대기하는 경우를 겪게 되었다고 한다. 만약 감응 구간에 차를 댈 때는 되도록 선을 꼭 지키도록 해야 하며, 만약 자신을 인식하지 못할 경우에는 설령 신호 없이 좌회전하더라도 다른 차선의 신호를 반드시 주시하도록 하자.

앞서가는 차량을 따라가는 가해자 / 사진 출처 = Youtube ‘블박맛집’
감응 신호 구간 / 사진 출처 = ‘보배드림’

알고 보니 지킨 게 없어
네티즌들 의견 갈렸다

그런데 해당 사건의 진실은 이러했다. 사고 가해자 차량은 단순히 감응 신호를 위반한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직진 차선에서 좌회전을 감행하는 등, 처음부터 교통법을 아주 지키지 않았다. 따라서 처음 제보자의 보험사에서 속도를 근거로 과태료가 나올 수 있다고 경고하긴 했지만, 사고 과실은 전적으로 가해자 차량이라고 밝혔다고 한다.

네티즌은 감응 신호에 대해서 다양한 의견을 내보였다. 한 네티즌은 ‘직진하는 차들에는 좌회전 없을 때는 쭉 달릴 수 있어서 너무 좋다’라는 댓글을 남기기도 했다. 반면 ‘오토바이도 인식 못 하고, 심지어는 일반 차도 인식 못 할 때 많아서 좌회전 신호만 10분 기다린 적도 있었다’라는 불만을 표하는 네티즌도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