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못 팔면 기여금 내야
6년 뒤에는 1대 당 300만 원
국내 완성차 업체의 운명은?

최근 현대차그룹이 2030년까지 전기차 생산량을 364만 대까지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현대차그룹이 판매한 전기차 37만 대의 10배가 넘는 수준인 셈이다. 이 같은 현대차그룹의 계획은 미래 성장 산업인 전기차 시장에서 점유율 확대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결정으로, 계획대로 이뤄질 시 글로벌 시장에서 기업가치 상승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2032년까지 신차의 3분의 2를 전기차로 채우는 내용의 규제안을 준비하는 등 완성차 업체들에 암묵적으로 내연기관차에서 전기차 전환을 유도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가운데 한국은 완성차 업체가 전기, 수소차 등 친환경차를 목표만큼 팔지 못할 경우 벌금 성격의 기여금을 강화해 공분을 사고 있다.

사진 출처 = ‘현대차그룹’
사진 출처 = ‘뉴스1’

내년 현대차그룹 전기차
5대 중 1대 팔아야

환경부는 지난달 17일부터 이달 5일까지 행정 예고한 무공해차 보급목표 일부 개정안을 조만간 시행할 계획을 밝혔다. 여기서 말하는 무공해차란 전기차와 수소차를 말하며 국내 완성차 업체에서 큰 이의를 표하지 않았기에, 예고안을 그대로 곧 실시할 전망이다.

예고안에 따르면 연평균 차량 판매 대수가 10만 대를 넘는 현대차그룹과 기아는 전제 판매 중 올해 15%, 2024년 18%, 2025년에는 22%를 전기차와 수소차로 채워야 한다. 연평균 차량 판매 대수 10만 대를 넘지 않는 한국GM과 KG모빌리티, 르노코리아는 올해 11%, 2024년 14%, 2025년 18%를 기준으로 삼고 있다.

사진 출처 = ‘뉴스1’

빠른 전기차 전환 위해
환경부가 내놓은 카드

그렇다면 이를 달성하지 못할 경우 어떤 문제가 생길까. 환경부는 목표를 이루지 못할 경우 1대당 60만 원의 기여금을 부과할 것이라고 전했다. 더 나아가 2026년에는 150만 원, 2029년에는 300만 원까지 오르며, 납부는 부과된 시점을 기점으로 3년간 유예된다.

이 같은 기여금은 완성차 업체에 큰 부담으로 다가올 수 있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가 발표한 내용을 살피면 지난해 국내 시장에서 현대차그룹은 총 68만 9천 대를 판매했으며, 그 중 전기차와 수소차는 단 8만 1천 대이다. 비율로 봤을 때 약 12%를 차지하는 셈인데, 기아와 한국GM, KG모빌리티, 르노코리아는 이보다 더 저조한 수치를 나타낸다.

사진 출처 = ‘현대차그룹’
사진 출처 = ‘뉴스1’

완성차 업체들 분주한 움직임
소비자 선택에 운명 달려

이처럼 국내 각 완성차 업체들이 기대에 미치지 못한 전기차와 수소차를 판매한 가운데 일각에서는 목표 비율 상향에 따라 기여금을 피하려는 분위기는 더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 현대차그룹이 전기차 생산량을 늘리겠다는 계획 역시 이와 같은 이유라 할 수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국내에서 전기차 시장을 사실상 독점하고 있는 현대차그룹과 기아의 경우 인기 신차 출시 등으로 향후 목표 달성에 큰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GM과 KG모빌리티, 르노코리아는 마련된 목표치를 채우기 힘들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