끊이지 않는 보복운전
누구든지 당할 수 있다
예방, 대응 방법은?

하루가 멀다 하고 올라오는 보복운전 관련 소식은 이제 지겨울 지경이다. 각종 매체에 올라오는 보복운전 블랙박스 영상은 이젠 일상적이며 주변에서도 보복운전 목격담이나 경험담을 쉽게 들을 수 있다.

자신이 아직 보복운전에 연루된 적 없다고 해도 언제까지나 남의 이야기로 치부할 수만은 없다. 운전자 누구든 실수할 수 있으며 이때 상식 이하의 사람과 엮인다면 안전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이다. 보복운전을 예방하는 방법과 보복운전 상황에 마주했을 경우 대처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을 살펴보았다.

원인 제공하지 않도록 주의
실수 시 확실히 사과할 것

보복운전 대부분은 잘잘못을 떠나 순간적인 화를 참지 못해 발생한다. 무리한 끼어들기, 추월 차로를 오랫동안 점거하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물론 보복운전은 어떤 이유로든 합리화될 수 없다. 하지만 올바른 운전 습관을 갖추지 않은 운전자는 보복운전의 표적이 될 확률이 커질 수밖에 없다.

진로 변경 전에는 진입할 공간이 충분한지 확인하고 방향지시등을 미리 점등해야 하며 직접 고개를 돌려 사각지대를 확인하는 ‘숄더 체크’가 필수다. 후측방 차량으로부터 양보 받지 못했다면 뒤차를 먼저 보낸 다음 여유 있게 진입해야 하며, 의도치 않은 실수로 상대에게 피해를 줬을 경우 비상등이나 적절한 수신호로 사과 의사를 확실히 밝혀야 한다. 마음의 여유를 가지고 기본적인 교통법규와 예절만 준수해도 보복운전에 엮일 가능성이 크게 줄어든다.

무리한 차로 변경 / 사진 출처 = 유튜브 채널 “한문철 TV”

자존심 세워봤자 손해
경적, 상향등 남발 금지

반면 자신은 아무런 잘못이 없음에도 상대방의 잘못에 항의하다 보복운전 피해를 입는 경우도 있다. 정체된 좌회전 차로에서 한참 동안 내 순서를 기다렸는데 얌체 운전자가 내 앞으로 불쑥 끼어든다면 화가 나는 게 당연하다. 한마디 하고 싶고 끼어들지 못하게 막고도 싶겠지만 이럴 땐 잠시 자존심을 내려놓자.

기본을 지키지 않는 운전자는 언제든 보복운전을 할 수 있는 잠재적 가해자라고 봐야 한다. 정 잘못한 상대방에게 대가를 치르게 하고 싶다면 현장에서 대응하지 않고 국민신문고 등에 블랙박스 영상을 첨부해 민원을 올리는 것이 최선이며 상황에 따라 이 방법이 더욱 확실할 수도 있다. 경적이나 상향등 또한 꼭 필요한 긴급 상황에서만 사용하고 이때 필요 이상으로 길게,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건 금물이다.

맞대응은 일만 키운다
상황 벗어나는 게 최우선

위의 모든 내용을 지켰음에도 불구하고 보복운전을 당할 수 있다. 자신의 실수를 인지하지 못해 상대방으로부터 오해를 샀거나 아무 문제도 없었지만 상대방의 정신 상태에 문제가 있는 경우다. 극악의 확률이긴 하나 이러한 불상사가 발생했다면 상황을 벗어나는 게 최우선이다. 갑작스러운 상황에 당황스럽고 화가 나더라도 상대방은 이미 이성을 잃은 상태이므로 똑같이 위협하거나 욕설하는 등 맞대응은 금물이다.

상황이 따라준다면 상대방으로부터 가능한 한 멀리 벗어나야 하며 상대방의 진로 방해 및 차량이 파손되어 현장에서 벗어나기 어려운 경우 차 문을 잠그고 모든 창문과 선루프를 닫은 다음 경찰에 신고해야 한다. 이러한 최악의 상황이 닥치지 않길 바라야겠지만 대부분의 보복운전은 예방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강조하며 글을 마친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