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만 전기차 시대 도래
덩달아 늘어난 화재 사고
뚜렷한 안전 정책 시급

전 세계적으로 전기차 열풍이 불고 있는 가운데 국내 전기차 등록대수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39만 대에 육박한 것으로 알려진다. 이처럼 점점 커져가는 전기차 시장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쏟아지고 있는데, 2018년 3건에 불과했던 전기차 화재 사고가 2022년 32건으로 급속도로 증가했기 때문이다.

이에 국내에서는 ‘전기차 포비아’라는 신조어까지 나오고 있는데, 한 번 발생한 전기차 화재의 경우 내연기관 차에 비해 화재 진압이 힘들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안전성을 높인 새로운 배터리를 상용화하려는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그렇다면 전기차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자.

사진 출처 = ‘남양주시소방청’
사진 출처 = ‘hindustantimes’

초기 진압 어려운 열폭주
지하주차장에서 더 큰 피해

내연기관 차량의 엔진이라 할 수 있는 전기차의 배터리는 차량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데, 외부 충격이 반복해서 가해질 때 배터리의 분리막이 손상돼 이른바 ‘열폭주’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배터리를 보호하려고 둘러씌운 강철 케이스는 진화수가 들어갈 공간을 막는 방해 요소로 전락하곤 한다.

이를 두고 한 업계 관계자는 “분리막과 액체 전해질로 이루어진 리튬 이온 배터리의 열폭주 현상을 막기 위한 방법은 아직까지는 물에 장시간 담가 열을 식히는 방식 외에는 없다”고 말했다. 문제는 이 같은 전기차 화재 사고가 밀폐된 공간인 지하주차장에서 발생할 경우 지상보다 질식 위험이 크고 주변 차량에 불길이 번질 위험이 크다는 것이다. 최근 대부분의 신축 아파트에서 전기차 충전 시설을 지하에 설치해 이러한 논란이 더욱 대두되고 있다.

사진 출처 = ‘뉴스1’
사진 출처 = ‘뉴스1’

부족한 공간에 어쩔 수 없다면
대응 마련 뒤 충전 시설 설치

이처럼 전기차 충전 시설은 지상주차장에 설치하는 게 이상적이라 할 수 있으나, 주차 공간이 마땅치 않은 아파트 주차장 특성상 불가피하게 지하주차장에 설치하는 상황이 많다. 전문가들은 지하에 충전 시설을 설치해야 한다면 입구 근처 또는 지하 1층 등으로 제한해야 한다고 말한다.

또한 비상계단 등과 같은 대피로에서 최대한 먼 곳에 설치하고 근처 차량으로 불이 번질 우려를 막기 위해 방화셔터 등의 방화 구획, 전용 급수설비도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러한 대처 방안 없이 충전기 대수만 정해 놓을 경우 화재 위험을 효율적으로 막기 힘들다고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사진 출처 = ‘경기도’
사진 출처 = ‘뉴스1’

전국 소방서는 지하주차장 내
전기차 화재진압 특별훈련

한편 전국 각 소방청은 최근 급증하고 있는 전기차 화재 사고를 효과적으로 진압하기 위한 대응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소방서에 따르면 전기차 화재와 배터리 열폭주를 진압하기 위해서는 배터리에 집중 방수해 냉각 소화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장시간 진압이 필요하고 재발화율이 높은 것을 대비해 체계적인 현장대응능력 함양이 필요하다 보고 있다.

이에 신속한 진압을 위해 단계별 화재진압전술과 유관기관과 훈련 및 전기차 진압 장비의 실효성을 검증한다는 방침이다. 한 소방 관계자는 “최근 내연기관에서 친환경 자동차로 변화하는 추세에 발맞춰 화재 성상을 이해하고 특화된 화재진압 장비 사용법 훈련을 통한 화재 대응 역량 강화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