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차 길들이기
요즘 차도 예외 없어
오래 타려면 필수적
오랜 기다림 끝에 새 차를 인도받는 순간은 그렇게 설렐 수가 없다. 혹시 모를 결함은 없는지 꼼꼼한 신차 검수를 마친 후 틴팅 시공은 물론, 안전 운행을 기원하며 고사를 지내기도 한다. 그런데 새 차에 해줘야 하는 것들 중 막상 중요한 ‘길들이기’를 생략하는 차주들이 많다.
사실 요즘 신차는 출고 직후 일상 운행에 들어가도 큰 문제는 없다. 하지만 자동차는 예나 지금이나 수만 개의 부품이 맞물려 작동하는 복잡한 기계인 만큼 신차 출고 직후에는 한동안 무리가 가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같은 자동차일지라도 신차 길들이기 유무에 따라 성능은 물론, 수명까지 달라지니 숙지해두는 게 좋다.
급가속, 급제동은 금물
RPM 골고루 사용해야
신차 길들이기 기간은 대부분 차량 매뉴얼에서 찾아볼 수 있다. 차종에 따라 1,500km에서 2,000km, 간혹 3,000km까지 길들이기가 필요한 경우도 있으나 2,000km가 일반적이다. 급가속 및 급제동은 일상 주행에서도 삼가야 하지만 아직 각 부품의 최적화가 이뤄지지 않은 신차의 경우 악영향이 훨씬 커지니 더욱 금기시된다.
엔진 회전수(RPM)를 필요 이상으로 높이는 행위 역시 피해야 하는데 가솔린 차량의 경우 4,000RPM, 디젤 차량은 3,000RPM을 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일부 제조사의 경우 신차 길들이기를 마치기 전까지 일정 수준 이상의 RPM 상승에 제한을 걸어두기도 한다. 그렇다고 무조건 낮은 RPM만 사용하는 것도 좋지 않다. 신차 길들이기에는 ECU 학습 목적도 있기 때문이다. 3,000~4,000RPM 이내 범위에서 회전수를 점진적으로 사용하면 길들이기를 마친 후 엔진 성능을 고르게 활용할 수 있다.
되도록 평지 위주 주행
가끔씩 정속 주행도 필요
급가속 및 급제동, 고회전 외에도 차에 무리가 갈 수 있는 주행 환경은 가급적 피하는 게 좋다. 경사가 심한 오르막길의 경우 속도와 관계없이 엔진과 변속기에 과부하를 줄 수 있다. 반대로 급경사 내리막 주행 시 파워트레인에는 큰 영향이 없으나 브레이크에 무리가 갈 수 있어 평지 위주 주행이 권장된다. 불가피하게 급경사 내리막길을 지나게 될 경우 엔진 브레이크를 함께 사용하는 게 좋다.
장거리 주행이 잦은 운전자가 아니라면 시내 주행의 비중이 높을 것이다. 의외로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는 중고속 주행보다 출발과 정지를 반복하는 시내 주행이 차량에는 더욱 가혹하다. 그렇다고 100km/h 이상의 고속 주행은 오히려 신차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이따금 교통량이 적은 국도에서 80km/h 이내의 정속 주행을 권장한다.
예열, 후열 역시 필수
비닐은 무조건 뜯어내야
시동을 걸자마자 출발하는 것은 신차 유무를 떠나 모든 자동차에 좋지 않다. 사람으로 치면 잠에서 깨자마자 달리는 것과 비슷하다. 시동 후 30초 정도만 기다렸다가 출발해 보자. 가라앉아 있던 윤활유가 내부에 골고루 순환되어 부품 마모를 줄일 수 있다. 길들이기 중인 신차의 경우 목적지에 도착하고 시동을 끄기 전에도 30초 정도 기다려주는 후열이 필요하다. 터보차저가 장착된 차량의 경우 길들이기 후에도 후열을 습관화하는 게 좋다.
그리고 간혹 신차 느낌을 오래 유지하기 위해 내부 비닐을 떼지 않는 차주도 있는데, 이는 자동차뿐만 아니라 탑승자 건강에도 좋지 않다. 비닐 커버 자체에서 유독 성분이 나오며 시트 등 실내 부품의 통풍을 막아 곰팡이나 세균이 번식할 수도 있다. 또한 갓 출고한 신차는 인조가죽, 플라스틱 부품 등에서도 신차 냄새가 나는 만큼 길들이기 기간 동안 충분한 환기를 통해 유독 성분을 배출해 줘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