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루기 쉬워진 요즘 차들
좀 더 안전하게 다루려면?
스티어링 휠부터 점검해야

사진 출처 = 유튜브 채널 “일렉이”

현행 자동차들은 과거에 비해 상당히 다루기 쉬워졌다. 적은 힘으로도 조작할 수 있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휠이 보편화되었으며, 차로 이탈 방지, 차로 중앙 유지 등 주행 보조 시스템이 도입되어 운전자가 할 일도 줄었다. 그래서인지 요즘은 한 손 운전 등 잘못된 방법으로 스티어링 휠을 조작하는 운전자들이 이전보다 많아진 느낌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스티어링 휠 조작은 양손이 더 안전하다. 하지만 한 손 조작에 익숙한 운전자들은 저속 주행 위주인 시내에서는 문제없다고 주장하며 혹자는 양손 운전이 초보운전자 같다며 멋이 없다고 생각하기도 한다. 이는 멋을 위해 헬멧을 쓰지 않고 모터사이클을 탄다는 것과 같다고 볼 수 있다. 양손 운전이 필수인 이유와 올바른 스티어링 휠 조작법을 정리해 보았다.

9시 3시 파지법 / 사진 출처 = 유튜브 채널 “Carl Jung-Hyun Lee”

9시, 3시 파지가 기본
핸들 봉 사용은 금물

한 손으로도 스티어링 휠을 조작할 수는 있지만 양손 조작에 비해 정확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 양손으로 조작할 경우 한 손 조작보다 힘이 덜 들어가는 것은 물론이며 운전자도 모르는 사이에 양손이 서로의 조작 정확도를 보완해준다. 달리 말해 한 손 조작은 위급 상황 시 과잉 조작으로 이어져 사고에 휘말릴 가능성이 커진다. 핸들 봉을 부착했다면 사고 발생 시 더욱 심각해진다.

그래서 스티어링 휠은 가장 적은 힘으로 조작할 수 있으며 유사시에도 최선의 대처가 가능한 9시, 3시 방향 파지가 정석이다. 카레이서들은 변속이나 핸드브레이크를 조작하는 순간을 제외하고 항시 9시, 3시 방향에 손을 두며 자동차 제조사 또한 신차 개발 시 9시, 3시 방향 파지를 기본으로 스티어링 휠을 설계한다. 만약 2시, 10시 방향을 잡았을 경우 한 손 운전보다는 안전하겠지만 방향지시등, 와이퍼 등 다기능 스위치 조작에 불편을 겪을 수 있다.

논 크로스 스티어링 / 사진 출처 = 유튜브 채널 “미남의운전교실”
논 크로스 스티어링 / 사진 출처 = 유튜브 채널 “미남의운전교실”

논 크로스 스티어링
팔 꼬일 일 없어

올바른 파지법이 진가를 발휘하기 위해선 정확한 스티어링 조작법도 동반되어야 한다. 양손으로 스티어링 휠을 조작하는 방법은 크게 ‘크로스 스티어링’과 ‘논 크로스 스티어링’으로 나뉜다. 논 크로스 스티어링은 양손이 서로 교차하지 않는 조작법이다. 스티어링 휠을 좌우 절반으로 나눴다고 가정하고 왼손은 스티어링 휠의 왼쪽 부분만, 오른손은 오른쪽 부분만 조작하는 식이다.

한 예로 스티어링 휠을 왼쪽으로 돌릴 경우 3시 방향을 잡고 있던 오른손을 최상단까지 올리자마자 왼손으로 바꿔 잡고 이를 최하단까지 내리면 다시 오른손이 건네받는 식이다. 처음에는 어색하기 마련이지만 꾸준히 연습하면 일상 운전에도 문제없이 응용할 수 있을 정도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조작할 수 있다. 팔이 꼬일 일이 없기 때문에 사고로 에어백이 터질 경우 골절 등의 부상 가능성이 줄어든다는 장점이 있다.

크로스 스티어링 / 사진 출처 = 유튜브 채널 “강병휘의 Station.B”
크로스 스티어링 / 사진 출처 = 유튜브 채널 “강병휘의 Station.B”

크로스 스티어링
빠른 조작 시 효과적

반면 ‘크로스 스티어링’은 스티어링 휠을 180도 이상 돌릴 때 한 손이 다른 손 위를 교차하는 조작법으로, 일상 주행에서 흔히 쓰이는 방식이다. 스티어링 휠을 오른쪽으로 돌릴 경우 9시 방향을 잡고 있던 왼손이 3시 방향으로 향할 때 오른손은 9시 방향을 잡아 돌린다. 이후 오른손이 3시 방향으로 돌아오면 다시 왼손이 9시 방향을 잡고 3시 방향으로 돌리는 걸 반복하는 식이다.

이 방법은 손을 옮기는 횟수가 적기 때문에 차량이 미끄러져 카운터 스티어가 필요한 경우와 같이 빠른 조작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효과적이다. 단, 크로스 스티어링을 할 때 스티어링 림 안쪽을 감아서 돌리는 건 금물이다.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던 시절 비교적 적은 힘으로 스티어링 휠을 조작할 수 있었던 방법이지만 손이나 손목이 스티어링 휠 스포크에 걸릴 수 있어 위험하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1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