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등한 자동차 할부 금리
신차 구매가 부담스럽다?
리스와 장기렌트 어떨까?
대다수에게 자동차는 집 다음으로 비싼 자산이다. 수천만 원에 달하는 신차 구매 비용을 꾸준히 모아 일시불로 살 수 있다면 가장 깔끔하겠지만 녹록지 않은 게 현실이다. 그래서 많은 이들이 대출, 할부 등을 선택한다. 비록 이자를 포함한 월 납입금이 나가긴 해도 초기 구매 비용 부담이 크게 줄어들기에 상황에 따라 합리적인 방법일 수 있다.
하지만 작년 하반기부터 급격히 치솟은 금리는 이마저도 망설여지게 한다. 다른 방법을 찾아보니 장기렌트, 리스 등의 방법도 있는데 할부보다 괜찮을지, 둘 중 어느 게 나을지 벌써부터 복잡하다. 그래서 세 방법의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5,363만 원짜리 그랜저 하이브리드 캘리그래피를 선납금 30%, 36개월 상환으로 설정해 비교해 본다면 어떤 결과가 나올까?
가장 보편적인 할부
월 납입금만 100만 원
가장 보편적인 할부부터 살펴보자. 일정 비율의 선납금을 지불한 다음 나머지 금액에 이자를 붙여 지정한 기간 동안 상환하는 방식이다. 먼저 선납금 30%인 1,485만 3,000원과 등록비, 탁송료 등 부대 비용을 포함해 1,892만 642원을 지불해야 한다. 여기에 나머지 3,751만 1,000원을 36개월 동안 분납하면 되는데 할부 금리 6.7%를 기준으로 계산했다.
이자만 살펴보면 월 10만 6천 원 꼴로 36개월 동안 381만 7,856원에 달한다. 이자를 포함한 월 납입금은 110만 496원으로 선납금을 포함한 전체 비용은 5,853만 8,498원인 셈이다. 매월 100만 원이 넘는 납입금을 내기 버겁다면 할부 개월 수를 48개월, 60개월로 늘리거나 한동안 이자만 지불하고 나머지 차량 가격은 일시 상환하는 유예 할부를 고려해 볼 수도 있다. 다만 이자가 눈덩이처럼 불거나 할부 원금을 미래의 자신이 짊어져야 한다는 점에서 위험 부담이 있다.
유지관리 쉬운 장기렌트
반납 대신 인수도 가능
장기렌트는 신차를 렌터카 업체 명의로 출고해 일정 기간 동안 빌려 타는 개념이다. 계약 만료 시 차량을 렌터카 업체에 반납하거나 원한다면 인수할 수도 있다. 차량이 내 소유가 아닌 만큼 절세 효과가 있으며 이용 요금에 보험료와 소모품 교환 비용, 자동차세 등 어지간한 유지비가 포함되어 있기에 추가 지출에 관한 부담도 적은 편이다.
하지만 선택의 폭이 한정되어 있다는 게 단점이다. 15인승 미만 승용차 및 승합차만 대여할 수 있으며 허, 하, 호가 붙은 렌터카 번호판이 붙어 나온다는 점도 아쉬울 수 있다. 그랜저 하이브리드 캘리그래피를 선납금 30%, 36개월 계약 기준으로 견적을 내면 매월 이용료 73만 6,120원이 나온다. 36개월 동안 4,216만 320원이 나가는 셈이다. 이용 기간이 끝난 후 차량을 반납하지 않고 인수한다면 총비용은 7,405만 3,720원으로 훌쩍 뛴다.
사업자에 적합한 리스
차종 선택의 폭 넓어
리스 역시 차량을 빌려 타는 임대 개념이지만 렌터카와 달리 허, 하, 호 번호판이 부착되지 않는다. 매월 내는 리스료는 비용 처리를 통해 세금 감면 혜택을 누릴 수도 있어 법인, 사업자들이 많이 선택하는 편이다. 장기렌트와 달리 선택할 수 있는 차종의 범위가 넓은데 고급 수입차, 화물차, 버스 등 사실상 대부분 차종을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등록비와 보험료 등 유지비를 이용자가 직접 내야 한다는 점에서 장기렌트보단 비용 부담이 큰 편이다. 그랜저 하이브리드 캘리그래피를 리스로 이용한다면 36개월 동안 리스료가 매월 61만 8,200원 나온다. 36개월 동안 리스료로 나가는 비용은 총 3,710만 8,200원이다. 계약 만료 후 차량을 반납할 수 있으며 인수하려면 3,590만 원을 더해 총 7,301만 1,200원이 필요하다. 따라서 편한 차량 유지를 원한다면 장기렌트, 보다 다양한 차량 이용을 원한다면 리스가 적합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