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 주차 자작극 벌인 견인 업체
지난해 견인으로 24억 챙겨
피해는 이용자가 떠안는 셈
공유 전동 킥보드(PM)는 많은 사람에게 친환경적 인식과 이동에 편리하다는 장점을 앞세워 새로운 교통수단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국내를 비롯한 해외 여러 업체 등장하며 전동킥보드 산업은 급격한 성장을 이뤄냈는데, 그러자 예기치 못한 곳에서 불만이 쏟아져 나오기 시작한 것.
대부분 불법 주·정차함에 따른 보행자들의 통행에 지장을 주고 있는 것에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는데, 횡단보도는 물론, 계단·난간, 자전거 도로, 산책로, 점자블록 등에 그냥 세워두고 가는 전동 킥보드 이용자들을 쉽게 살펴볼 수 있다. 지난 1년 간 서울시에서 일평균 약 184대가 불법 주·정차되어 견인된 사실이 알려졌다. 그런데 최근 제기된 주장에 네티즌들로부터 충격을 자아내고 있는데, 과연 무엇일지 알아보자.
사람 없는 새벽 시간 이용해
셀프 견인 신고한 업체
서울시에서만 전동 킥보드 불법 주차 신고 건수는 6만 건 이상으로 알려진다. 이에 지난 2021년 7월 15일부터 도로에 위치한 전동 킥보드를 견인 조치하고 있는데, 즉시 견인 구역에 위치한 기기는 견인 업체가 발견 즉시 견인을, 나머지 구역은 전동 킥보드 신고 시스템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
이처럼 서울시가 보행자의 편의에 신경을 쓰고 있는 가운데 과연 모든 이용자가 이처럼 전동 킥보드를 함부로 둔 것인지 의문을 자아내기도 한다. 실제 새벽 시간 한 남성이 정상 주차된 전동 킥보드를 차도로 옮긴 1시간 뒤 견인 업체가 나타나 수거하는 모습이 포착됐기 때문이다.
정상 주차한 이용자 PM을
이용해 보상금 수령하기도
이 같은 상황이 반복되자 전동 킥보드 업체는 견인 업체가 ‘자작극’을 벌이고 있다고 의심하고 있는데, 전동 킥보드 신고 시스템으로 접수된 약 74%가 견인 업체의 신고라는 점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특히 전동 킥보드 신고 시스템은 신고가 접수 3시간 경과 후에도 이동 조처되지 않을 경우에 견인을 진행하고 있는데, 이를 지키지 않고 곧바로 수거하는 견인 업체들의 의도적인 견인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
그렇다면 왜 견인 업체들은 이렇게까지 하면서 전동 킥보드를 견인하고 있는 것일까. 견인 업체는 전동 킥보드 업체로부터 대당 4만 원을 받고 수거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지난해 서울에서 수거한 전동 킥보드는 무려 24억 원이 넘는다.
문제는 전동 킥보드 업체는 일일이 CCTV를 확인하지 않는 이상 이용자가 그런 것인지 견인 업체의 자작극인지 알 수 없는 노릇이다. 더 나아가 정상 주차를 한 이용자 역시 영문도 모르고 피해를 보는 사례가 늘고 있는 상황이다.
견인업체 악용 방지 위해
발 벗고 나선 PM 운영업체
이 같은 논란이 일자 한 전동 킥보드 업체는 올바른 전동 킥보드 주차문화를 위해 한국교통안전공단과 노인일자리전담기관 등과 손을 잡았다. 이들은 지난달 28일 송파구 전역에 잘못 주차된 전동 킥보드를 정상 주차 장소에 재주차하는 활동을 두 달 간 시범 운영에 거쳐 장기적으로 진행할 계획을 밝혔다.
또 다른 전동 킥보드 업체는 AI 사물 인터넷을 통한 객체 인식과 위치 정보로 불법 주차 및 통행에 불편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향후 자율주행 기술을 이용한 불법 주차된 전동 킥보드를 2~3m 이동시켜 지정 주차 구역에 옮겨 놓을 수 있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기능을 개발 중이다.
코안넣고 스로틀만하면되지 바퀴를 왜잠그냐 한국에서.. 그거만 안했어도 사람들이 알아서 다 치웠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