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MW그룹코리아
한국에서 번 돈 대부분 투자
부품만 4조 원어치 사들였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기업은 이윤을 추구하기 위해 존재한다. 그러나 BMW는 적어도 한국 시장에서만큼은 단순 이윤 추구보다는 상생과 투자에 집중하는 듯하다. 지난 22일 BMW그룹은 2021년 한국 시장에서 4조 6천억 원 매출을 기록했으며 이듬해에는 한국 협력 업체로부터 4조 5천억 원 규모의 자동차 부품을 구매했다고 밝혔다.
한국에서 번 수익의 대부분을 재투자한 셈인데, 업계는 BMW그룹의 이 같은 전략을 국내 기업들의 글로벌 진출을 돕고 국가 경제 발전에도 기여한다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돌아보면 BMW그룹이 국내 업체들로부터 부품을 구매한 지 꽤 오랜 시간이 지났는데, 그동안 어떤 변화를 이뤄왔는지 살펴보자.
누적 구매 금액 25조 원
해외 진출 발판도 제공
BMW그룹은 2010년 약 7,400억 원 규모의 자동차 부품을 국내 업체로부터 구입했다. 이는 날이 갈수록 증가해 2014년 처음으로 1조 원을 돌파했으며 3년 만인 2017년에 그 두 배인 2조 원 규모를 기록했다. 2010년부터 작년까지 BMW그룹이 국내 협력 업체로부터 구매한 자동차 부품 누적 금액만 25조 원을 넘긴다. 현재는 국내 업체 30여 곳으로부터 전기차 배터리, 디스플레이 등을 비롯한 부품을 구매해 신차에 탑재하고 있다.
BMW그룹은 국내 기업이 해외로 진출할 수 있도록 판로도 제공해 주고 있다. BMW가 운영 중인 ‘스타트업 개러지’는 한국을 비롯한 6개국에서 자동차 분야 기술 발전을 원하거나 판로 개척을 희망하는 스타트업을 지원해 주는 프로그램이다. 해당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서울로보틱스’는 자동차 생산 라인에서 운전자 없이 차량을 이동하는 공장 내 자율주행 프로젝트를 합동 연구 중이다. 작년 7월에는 독일 딩골핑 공장에서 시범 운영에 들어가기도 했다.
국내 스타트업 지원까지
작년 국무총리 표창 받아
또한 BMW는 지난 2021년부터 국내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모빌리티 기술 협력 사업 연계를 돕는 ‘BMW 테스트 베드 프로젝트‘를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과 함께 추진하고 있다. 지속적인 노력이 이어지자 우리 정부는 BMW그룹이 국내 자동차 산업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해 작년 12월 무역의 날 행사를 통해 국무총리 표창을 수상하기도 했다.
이외에도 BMW그룹은 기반 시설 확충을 통해 한국 시장 뿐만 아니라 사회와도 상생하겠다는 의지를 표현하고 있다. 현재 인천 청라에는 BMW R&D 센터 코리아 확장 건립이 한창이다. 미국, 중국 등에 이어 세계 다섯 번째 R&D 센터를 한국에 설립한 건 한국 시장이 모빌리티 전략에 필요한 주요 시장이기 때문이라는 게 BMW 측의 설명이다.
고용 확대에도 기여한다
네티즌 반응 살펴보니
오는 2024년 R&D 센터 확장이 끝나면 전동화, 커넥티비티, 자율주행 등 미래 모빌리티 기술 부문 연구가 수행될 예정이며 국내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상윤 BMW 그룹 코리아 대표이사는 “BMW는 한국 사회와 상생을 위해 부품 수주부터 사회 인프라 투자까지 다양한 투자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라며 “궁극적으로 외국계 기업이 한국 사회에 기여하는 선순환 경제 구조를 만들어 나가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네티즌들은 “BMW는 차도 좋은데 기업 마인드도 착해서 호감이 간다”, “BMW 드라이빙 센터를 최근에 가봤는데 거긴 적자 상태인데도 고객 경험 강화 차원에서 계속 운영을 한다더라”, “8년 전에 BMW 뽑아서 쭉 타는데 아직 잔고장이 없다”, “그냥 많이 파는 기업이랑은 또 격이 다르네” 등의 반응을 보였다.
비엠을 타는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