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연료 첨가제
자동차의 보약?
진실 파헤쳐 보니

차량 주유 시 함께 넣는 실린더 코팅제, 보호제, 내부 세정제, 누유 방지제 등 각종 첨가제를 우리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다. 온라인 쇼핑몰, 대형 마트 등에서 주로 판매되는 첨가제들은 차량의 연비와 성능을 높여주고 소음과 진동을 줄여주는 등 한 번 넣으면 드라마틱한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처럼 홍보된다.

일반 소비자들이 접할 수 있는 제품 뿐만 아니라 정비소에만 유통되는 전문가용 제품도 존재하는데, 이런 첨가제가 실질적인 효과를 발휘하는지 여전히 의견이 분분하다. 엔진 내구성, 연비, 차량 성능 등이 향상됐다는 후기가 있는가 하면 단순히 플라시보 효과에 불과한 것 같다는 후기도 있는데 과연 어떤 게 진실일까?

카본 슬러지가 누적된 엔진 실린더

엔진 노화 과정 살펴보니
내부에 카본 때가 쌓인다

우선 엔진이 노화되는 과정을 살펴보자. 외부 습도와 온도의 변화에 따라 차량 연료 탱크 내부에 있던 습기가 응축되고 수분이 발생하게 된다. 이 수분은 그대로 연료 라인을 타고 실린더까지 침투하며 심하면 점화 시기까지 영향을 줄 수 있다. 점화 시기가 조금만 느려져도 연소 속도가 느려져 출력이 떨어지고 엔진 내의 때와 다름없는 카본도 증가한다.

이는 배출가스 증가로 이어질 뿐만 아니라 연료의 과다 분사를 유도하고 결과적으로 연비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 특히 가솔린 직분사(GDI) 엔진의 경우 카본 슬러지가 엔진 곳곳에 쌓이면서 출력이 떨어지고, 장기간 누적되면 엔진 고장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이에 연료 첨가제 제조사들은 첨가제만 넣어줘도 이 모든 것이 해결된다고 주장한다.

‘B’사 연료 첨가제 광고

만병통치약처럼 홍보하지만
실제 효과는 미미한 수준

그들이 주장하는 연료 첨가제의 효과는 이렇다. 점화 시기를 평소보다 앞당겨 출력 및 연비가 향상되고 카본을 생성하지 않는 것은 물론, 이미 쌓여 있는 카본 슬러지마저 제거해 준다는 것이다. 하지만 업계 전문가들의 의견은 다른 듯하다.

한 정비 업계 관계자는 “연료 첨가제는 비타민 음료와 같다. 이를 마신다고 실제로 건강이 좋아지지는 않지만 마치 건강해진 것 같은 기분이 들 뿐”이라며 “연료 첨가제 역시 차 상태가 좋아진 것처럼 느껴지는 게 전부”라고 말했다. 엔진오일, 트랜스미션 오일 등 케미컬 제품 제조 업체 관계자는 “온갖 자동차 첨가제들은 엔진 성능 저하를 약간이나마 늦춰 주는 예방 효과가 있다 치지만 엔진 노화를 근본적으로 막아주지는 않는다“라고 덧붙이기도 했다.

연료 첨가제 주입 실험 결과 / 사진 출처 = 유튜브 채널 “박병일의 명장본색”

반복 사용하라는 제조사들
“운전자 심리 이용한 상술”

이에 연료 첨가제 제조 업계는 “주기적으로 연료 첨가제를 넣어 주면 안 넣는 것보다 확실히 낫다”라고 반박한다. 연료 첨가제를 일회성으로 주입했을 경우 다시 점화 시기가 변화하고 엔진 내에 카본 슬러지 등 불순물이 누적되므로 이를 막으려면 반복적으로 사용해 줘야 한다는 게 이유다. “제품마다 성능 차가 크며 효과가 뛰어난 연료 첨가제를 주기적으로 주입해 줘야 효과를 체감할 수 있다”라는 주장도 나온다.

반면 완성차 업계 관계자는 “운전자들의 심리를 이용한 상술”이라며 “엔진 출력이나 연비가 감소하면 정비소부터 들르는 게 맞지만 수리비가 부담스럽고 번거로운 운전자들이 연료 첨가제를 구입해 위안 삼는다”라고 지적했다. 연료 첨가제를 살 돈으로 엔진오일 등 각종 소모품을 제때 관리하거나 차라리 고급유를 넣는 게 차량에 더욱 좋을 수 있다는 결론이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2
+1
0
+1
0
+1
1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