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40만 대 시대 도달
1대당 전기차 19대 담당
보조금 지원 문제 얽혀
지난해 연말 기준 국내 전기차 운행 차량 대수가 약 39만 대를 돌파했다. 이는 2015년 5,000대에 머물렀던 전기차 등록 대수가 8년 만에 무려 7,700% 증가한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전기차를 신차로 구매한 사람이 약 54%에 이르는 등 전기차 시장이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여전히 하이브리드 차량을 선호하는 이들의 점유율이 눈에 띄게 앞서고 있는데, 과연 그 이유가 무엇인지 아래에서 알아보자.
빠르게 늘어나는 전기차
더딘 속도의 충전 인프라
전기차 구매를 망설이는 이들의 가장 큰 고민은 바로 ‘충전’이다. 내연기관을 이용할 경우 주유소를 찾지 못하는 걱정을 하지 않지만, 전기차는 아직까지 부족한 충전 인프라로 인해 충전소 위치를 미리 파악해 동선을 짜야 하는 고충을 겪는다.
그중에서도 급속 충전기의 보급 속도가 더디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데, 실제 전체 전기차 충전기 20만 5,000기 중 급속 충전소 비중은 단 10%밖에 안 된다. 이를 제외한 나머지가 ‘완속 충전기’이라는 의미다.
이 경우 완속 충전기는 전기차 2대당 1대 꼴로 충전이 가능한 반면, 급속 충전기는 전기차 20대 당 1기 꼴로 설치된 셈이다. 이러한 현상은 대도시에서 더욱 극명하게 느껴지는데 경기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전기차 1대당 서울이 26대, 부산 34대, 인천 31대를 담당하고 있다고 밝혔다.
완속 충전기에 비해
10배 넘는 비용 들어
그렇다면 왜 급속 충전기의 보급은 이처럼 속도가 나지 않은 걸까. 여기에는 정부가 지원하고 있는 보조금 체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현재 완속 충전기 한 기당 설치비 및 운영비로 200만 원 정도가 드는데, 급속 충전기는 한 기당 2,000만 원의 비용이 든다.
또한 전기차 이용자들이 평일에 아파트 혹은 회사 주차장에 있는 완속 충전기를 이용하는 것은 물론 충전 비용이 2~3배 정도 비싸 이용률이 저조하다는 업계 입장이다. 게다가 전기차 충전기 보조금은 완속 충전기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어, 급속 충전기의 경우 사업성이 떨어져 쉽게 나설 수 없다는 주장이다.
2025년까지 급속 충전소
주유소만큼 늘릴 계획
이에 전기차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 여러 주장이 나오고 있는데, 업계는 국내 전체 차량 중 전기차 비중이 최소 7%에 도달해야 급속 충전을 통한 수익을 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해당 수치는 지금의 4배 수준인 약 175만 대를 넘겨야 한다는 것인데, 정부는 달성 시점을 2025년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 같은 속도에 맞춰 정부는 급속 충천소를 1만 2,000곳으로 늘릴 계획이다. 또한 완속 충전기에 대한 보조금 지원은 내년까지만 하고 급속 충전기 중심으로 보조금 지원을 해 문제를 해소할 것이라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