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롭게 등장한 코나
약 300만 원가량 인상
코나를 기준으로 바뀔 가격

지난 18일 현대차는 그간 기아에 밀려왔던 소형 SUV 모델을 새롭게 내놓았다. 그 정체는 바로 2세대 코나다. 셀토스의 대항마로 불리고 있는 2세대 코나는 이전 모습이 생각나지 않을 정도의 디자인과 각종 편의 옵션들을 대거 적용했다. 게다가 코나의 장점인 다양한 파워트레인의 출시로 많은 소비자들이 주목하고 있는 현대차의 주력 모델이다.

현대차는 개선된 코나의 상품성에 맞춰 가격 역시 크게 올리는 모습을 보여줬다. 물론 가격이 오른 만큼 각종 편의 기능들이 탑재되기는 했지만 일부 소비자들은 “도저히 이해가 안 가는 가격이다”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코나의 가격으로 곧 다가올 후폭풍에 대해 알아보자.

300만 원이 오른
코나의 가격

코나의 전반적인 트림의 가격을 살펴보면, 개별소비세 3.5%를 적용해 1.6 가솔린 기준 2,537만 원에서 3,097만 원에 책정되었다. 2.0 가솔린 모델은 2,468만 원부터 3,029만 원에 판매되며, 하이브리드 모델은 세제 혜택이 빠진 가격으로 3,119만 원에서 3,611만 원 선에 판매될 예정이다.

대체적으로 신형 코나의 가격은 모든 트림이 300만 원가량 증가되었다. 물론 기본적으로 모든 트림에 12.3인치 디지털 클러스터와 내비게이션이 통합된 파노라믹 디스플레이와 DRL, LED 헤드램프 등이 적용되었지만, 일각에선 “소형 SUV 치곤 가격 인상폭이 너무 크다”고 말하고 있다. 실제로 코나의 가격대는 준중형 SUV 스포티지와 투싼의 가격과 거의 맞먹는 수준이고, 하이브리드 모델은 투싼 하이브리드보다 시작 가격이 더 비싸다.

코나의 ‘룰 브레이커’
모든 가격을 바꾼다

지난 18일 현대차 장재훈 사장은 코나에 대해 “차급을 뛰어넘는 혁신적인 상품성을 갖춘 코나를 통해 시장의 판도를 깨는 한 단계 높은 기중은 제시하고자 한다”라고 말했다. 이는 즉 코나를 통해 기존 SUV 시장의 기준을 바꾸겠다고 볼 수 있는데, 일부 소비자들은 “이미 가격으로 소형 SUV 시장의 판도를 뒤바꿨다”라고 말했다. 물론 차량의 상품성과 각종 옵션이 추가되고 크기도 커져 가격 인상을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코나의 가격 상승으로 인해 이후 모델의 가격 인상도 불가피해졌다는 추측도 있다. 우선 투싼 1.6 가솔린 모델의 가격을 보면, 2,584만 원부터 3,316만 원까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다. 하지만 코나는 투싼과 시작 가격이 고작 53만 원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 이를 통해서 현대차는 소형 SUV의 가격대가 2,500만 원대에 시작되니 나머지 준중형, 중형 SUV 모델은 물론 세단 차량도 가격 인상을 감행할 것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이런 식의 급 올리기를 통해 현대차는 점차 차량 가격을 과도하게 올릴 가능성이 높고, 결국 부담은 소비자들의 몫”이라고 설명했다.

크기를 키워
급을 바꾼다

소형 SUV인 신형 코나의 가격은 준중형 SUV 투싼과 비슷한 가격대로 올라왔다. 가격과 함께 코나는 크기도 투싼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수준으로 커졌다. 물론 길이는 30cm가 차이 나지만, 휠베이스는 고작 10cm 남짓 차이가 난다. 현대차는 점차 차량의 크기를 늘려 소형 SUV를 준중형급으로 올리고 그만한 가격도 받을 수 있도록 준비하는 모습이다.

게다가 지금 현대차의 경차인 캐스퍼와 베뉴의 차이를 두기 위해 어느 정도 차이를 벌리고 있다고 추측해 볼 수 있다. 현대 베뉴는 소형 SUV라고 불리고 있지만, 엄연히 코나와 베뉴는 같은 소형 SUV라고 보기 어려운 수준이다. 이제 우리가 소형 SUV라고 불리는 코나는 준중형으로 커지고, 이전 코나 사이즈로 베뉴가 몸집을 키울 것으로 보인다. 이런 체급 키우기를 통해 가격 합리화를 만들 현대차는 ‘가성비’가 아닌 ‘가심비’ 정책을 펼칠 것으로 보인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1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