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강제조정 처분 받아
연맹이 지옥에 선수들 몰아
김보름 노선영 근황
2018 평창동계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팀 추월 종목에서 ‘왕따 주행’ 논란으로 법정 공방을 펼쳤던 김보름과 노선영에 법원이 강제조정 결정을 내렸다. 11일 서울고법 민사13부는 김보름이 노선영을 상대로 낸 손해배상 소송 항소심 조정기일을 열고 ‘조정을 갈음하는 결정(강제조정)’을 내렸는데, 이는 민사소송에서 판결을 내리지 않고 법원이 양측의 화해 조건을 정해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절차다.
이 같은 법원의 결정에 대해 김보름과 노선영은 2주 내 이의를 제기할 수 있는데, 그렇지 않을 경우 강제조정은 확정판결과 같은 효력을 갖는다. 다만 이의를 제기한다면 조정이 결렬돼 재판이 다시 열린다.
뒤에서 지켜만 본 어른들
법원의 이례적 질책
강제조정안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서울고법 관계자에 따르면 “임의조정이 성립되지는 않으나 재판부가 조정기일에서 논의된 바를 토대로 조정을 갈음하는 결정을 발령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법원은 지난달 9일 열린 변론에서도 “평창동계올림픽이 끝난 지 벌써 몇년이 지났는데, 원고와 피고 모두가 지옥 같은 삶을 사는 것에 가슴 아프게 생각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그런면서 “빙상연맹과 감독 등은 소송에서 다 뒤로 빠져 있다. 어른들이 어린 선수들을 이렇게 가혹하게 지옥에 몰아내도 되는지 우리 사회에 묻고 싶다”고 지적했다. 이어 “어느 한쪽의 편을 들 마음이 없다. 강력하게 쌍방 화해를 권고한다”고 안타까움을 내비쳤다.
협찬이 끊긴 데 이어
국민청원까지 올라와
그렇다면 김보름과 노선영의 관계가 이렇게까지 틀어진 이유는 무엇일까? 평창동계올림픽에서 여자 팀 추월 8강전에 출전한 두 사람. 당시 노선영이 앞선 두 선수보다 뒤로 처졌고 결국 4강 진출 문턱에서 좌절을 맛봐야 했다. 문제는 경기 후 인터뷰에서 시작됐는데, 김보름이 노선영의 부진을 탓하는 듯한 태도를 보이자 여론의 비판을 받은 것. 이후 노선영 역시 자신이 되레 따돌림을 당했다고 주장하며 ‘왕따 주행’ 논란을 초래했다.
이로 인해 김보름은 이미지에 큰 타격을 입었고 협찬과 광고에서 물러나야 했다. 빙상 팬들 사이에서는 김보름의 국가대표 자격을 박탈해야 한다는 국민청원까지 올리는 상황까지 이어졌다. 그러던 중 김보름 역시 노선영으로부터 폭언과 욕설을 들었다고 주장한 것. 또한 노선영의 허위 주장으로 각종 피해를 입었다며 2억 원대의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내 끝없는 법정 공방으로 이어진 것이다.
소속사와 계약하며
본격적인 방송 활동
한편 치열한 법정 다툼 속에도 김보름은 도전은 이어갔다. 2022 베이징동계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여자 매스스타트에서 5위를 기록했는데, 같은해 방송 활동을 위한 소속사와 전속 계약을 맺어 빙상 팬들을 놀라게 했다.
그는 “아직은 낯설지만 항상 최선을 다했듯이 본업은 물론 방송에서도 열심히 활동하고 싶다”며 “스피드스케이팅 매스스타트도 더욱 많이 알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이후 활발한 방송을 활동을 이어갔는데, 최근에는 ENA와 tvN스토리에서 방영된 ‘씨름의 여왕’에서 색다른 모습을 선보였다. 노선영은 왕따 주행 논란 이후 은퇴를 선언한 것으로 알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