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체불명의 표지판
좌회전 감응 신호 안내
운전자들 당황시켜

운전을 하다보면 수많은 표지판을 볼 수 있다. 주의표지, 지시표지, 보조표지, 규제표지교통안전 표지판만 해도 너무나도 많은 표지판이 존재한다. 그러나 모든 운전자가 이 표지판들의 의미를 정확하게 숙지하고 있는 경우는 드물다.

특히 초보운전자는 더욱더 교통신호나 표지의 의미를 제대로 모른 채 주행한다. 그런데 수많은 표지판 중에서도 지방에서 정체를 알 수 없는 생전 처음 보는 표지가 발견돼 화제가 됐다. 이 표지판은 화살표나 숫자가 아닌 ‘밟으세요’라는 네 글자와 직사각형으로 구성되었다.

처음 보는 표지판
좌회전 감응 신호

생전 처음 보는 표지판에 운전자들은 무엇을 밟으라는 건지 모르겠는 반응들이 많았다. 이 문구는 알고 보니 좌회전 감응 신호를 위한 안내였다. 표지를 본 후 도로를 살펴본다면 좌회전 차선에 사각형 선이 그려져 있는 걸 볼 수 있다.

이 표지의 뜻은 좌회전을 하려면 저 사각형에 차를 정차시켜 선을 밟고 있으라는 뜻이다. 좌회전 감응 신호가 이를 감지한다면 좌회전 신호가 들어오기 때문이다. 여전히 생소한 좌회전 감응 신호 구간은 어떤 시스템과 방법으로 돌아가는 것일까?

최신 교통 신호등
비보호 위험성 감소

감응 신호는 차량 통행이 비교적 적은 도로에 새롭게 설치되기 시작했던 최신 교통 신호등이다. 취지는 도로의 파란불 점등 시간을 높여 비보호 좌회전 구간에서 좀 더 원활한 통행과 교통 흐름을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

감응 신호 시스템이 있는 곳은 좌회전 차량이 없을 때 자동으로 직진 신호에 시간을 더 부여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좌회전하려는 차량이 정해진 사각형 구역에 정차하게 되면 센서가 이를 감치해 좌회전 신호로 바뀌면서 일반적인 비보호보다 안전하고 사고율을 낮출 수 있다.

정확한 위치에 정차해야
전국으로 본격적 확대

좌회전 감응 신호 구간에서 정차했는데도 신호가 바뀌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는 운전자가 노면에 그려진 사각형 구역에 정확하게 정차하지 않아서 센서가 이를 감지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를 모른다면 하염없이 기다리다가 신호가 바뀌지 않고 좌회전을 시도하는 경우가 생기니 주의가 필요하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5월부터 전국 주요 국도 및 도시에 본격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실제로 현재 수도권에는 구축이 완료됐고 지난해 403개소에 감응 신호를 구축했다. 또한 올해 부산 등 도시에 좌회전 감응 신호 20개소를 설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1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