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가지 자동차 옵션
오토 홀드 기능의 유용함
사용 시 유의 사항 숙지

우리나라에서 자동차를 구매할 때는 옵션을 추가할 수 있다. 하지만 옵션이 추가되어 있어도 사용 방법을 모르는 운전자들도 제법 많이 있다. 또한 어떤 기능을 하는지 모르며 주의 사항도 숙지하지 않은 채 운행하기도 한다.

최근 나오는 차량 기술 중에는 운전을 조금 더 편하게 해주는 기술도 있는데 이러한 기술 옵션을 추가했음에도 실제로 사용하지 못하거나 알지 못하면 손해를 볼 수도 있다. 그중에서 자동차 오토홀드라는 기능은 어떠한 기능일까?

자동차 오토 홀드
알아서 멈춰준다

오토 홀드, 차가 멈추었을 때 브레이크를 밟지 않고도 움직이지 않게 해주는 기능이다. 우리는 보통 기어를 D에 놓았을 때 브레이크를 밟지 않으면 차가 앞으로 나간다. 그러나 오토 홀드 기능을 사용한다면 D에 두고 브레이크를 밟지 않아도 알아서 멈춘다.

예를 들면, 주행을 하다 신호가 바뀌어 정차할 때 브레이크를 밟지 않으면 차가 움직일 수 있지만 오토 홀드 기능이 작동되면 브레이크 조작 없이도 차량이 움직이지 않는 것이다. 이 기능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가 장착된 차량을 운행해야 한다.

오토 홀드의 장점
사고 확률 감소

특히 오토 홀드 기능은 시내 주행 시 정체가 많을 때 매우 유용하다. 평소에 차량이 정체될 때 지속적해서 브레이크를 밟고 다시 떼는 일이 잦아지면 운전자의 피로는 가중될 수밖에 없다. 이때 기능을 작동하면 피로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언덕에 정차하다 다시 움직일 때 차가 뒤로 밀리면서 이렇게 되면 뒤 차량과 사고가 발생할 위험도 있다. 하지만 오토 홀드를 사용한다면 뒤 차량과 사고가 발생할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계기판 확인 필수
사용 시 유의 사항

오토 홀드를 사용할 때 계기판을 확인해보면 주행 중에는 흰색으로 표시가 되다가 신호에 걸려 차량이 완전히 멈추면 초록색으로 바뀌고 그 순간부터는 브레이크에 발을 떼어도 움직이지 않는다. 그런데 유의 사항이 있다. 간혹 오토 홀드를 킨 상태로 주차를 하는데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을 때는 급출발이 생길 수 있다.

또한 내리막길에서 감속을 위해 브레이크를 밟는데 그때마다 정지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자동차 세차장을 들어갈때 기능이 작동하게 되면 레일 따라 차량이 이동해야 하는데 움직이지 않으면서 기계와 부딪혀 사고가 날 수 있다. 이러한 유의 사항을 잘 숙지하여 사용한다면 안전하고 편안한 운행이 가능하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